빅토리아시크릿의 실적은 여성의 성 상품화 논란, 트렌드 변화에 직면해 악화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11월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패션쇼 피날레 장면.
빅토리아시크릿의 실적은 여성의 성 상품화 논란, 트렌드 변화에 직면해 악화되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11월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패션쇼 피날레 장면.

미란다 커, 지젤 번천, 아드리아나 리마, 하이디 클룸…. 세계 톱 모델들이 고급스러우면서도 섹시한 이미지의 ‘빅토리아 시크릿(이하 빅시)’ 속옷을 입고 흥겹게 걸어 나온다. 매년 크리스마스이브 무렵 열리는 빅시 패션쇼는 브랜드의 정체성으로 불릴 만큼 세계를 주목시킨다.

그러나 늘 화려할 것 같았던 미국 최대 란제리 회사 빅시가 위기를 맞았다. 지난해 기준 빅시의 오프라인 매장 1(제곱피트)당 평균 매출은 784달러를 기록, 2년 전(864달러)보다 10% 가까이 감소했다. 이 기간 모(母)회사 L브랜즈의 영업이익은 17억2800만달러로, 2015년보다 21% 감소했다. L브랜즈의 주가도 직격탄을 맞았다. 올 초 주당 60달러에 육박했던 L브랜즈 주가가 현재 32.1달러(8월 16일 기준)로 거의 반 토막이 났다.

세계에서 가장 인기 많은 속옷 브랜드 중 하나인 빅시의 전성기는 끝난 것일까. 빅시의 최근 부진을 설명하는 키워드를 세 가지로 정리했다.


실패요인 1 | 페미니즘에 발목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