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1980년대 세계 신발 산업의 메카는 부산이었다. ‘메이드 인 부산’하면 세계인들이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는데 주저하지 않았던 시절이었다. 하지만 값싼 노동력을 찾아 제조공장이 중국, 베트남 등지로 이전하면서 부산의 신발 산업은 침체기에 빠졌다. 세계 신발 시장의 70%를 점유하고 있는 나이키, 아디다스, 리복의 OEM 물량도 대만 업체로 넘어갔다. 그랬던 부산의 신발 산업이 다시 활기를 찾고 있다.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 분류되던 신발 산업에 고부가가치 기능과 최첨단 기술이 접목되면서 부산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스포츠화•건강 기능성 신발로 ‘부활’

OEM 생산기지서 첨단 신발 메카로 대변신

부산 신발 산업이 제2의 부흥기를 맞았다는 것은 최근 비약적으로 증가한 신발 산업 매출에서 드러난다. 지난해 부산 지역 10인 이상 신발 제조업체의 매출액 합계는 1조7941억원. 지난 2005년 1조3848억원에서 2006년 1조4330억원으로 늘어난 후 2007년 1조7502억원으로 매년 매출 폭이 확대됐다.

부산의 주요 신발 기업들의 매출도 급증했다. 2000년 2125억원에 불과했던 화승의 매출액은 지난해 3840억원으로 늘었다. 삼덕통상은 163억원에서 437억원으로 2.5배 이상 성장했다.

이는 세계적인 신발업체의 OEM 물량은 대폭 줄었지만 고품질•고가의 핵심 제품은 여전히 한국 업체들이 납품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기존 빅 브랜드가 진출하지 않은 틈새시장을 공략한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권창오 부산경제진흥원 신발산업진흥센터 소장은 “1990년대 후반부터 등산화, 싸이클화, 인라인스케이트화, 기능성 건강화 등 특수화업체..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