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말 스마트그리드 국가 로드맵이 발표됐다. 향후 세계적인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그리드 산업을 향한 본격적인 출항의 깃발이 오른 것이다. 물론 선진국에 비해 출발이 빠르지도 않고 원천기술이 풍부한 것도 아니다. 그렇다고 꼭 불리한 것도 아니다. 스마트그리드 산업에 연관된 기술이 고르게 발전해 있다는 사실, 국가 주도라는 사실 등 우리가 가진 장점을 활용한다면 스마트그리드 선진국에 입성할 수 있다. 기후변화 주요국 정상회의(MEF)가 이탈리아와 함께 한국을 스마트그리드 선도 국가로 선정한 것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한국은 만만한 상대가 아니다.

제2차 전력혁명 카운트 다운… 

“생활의 모든 것 바뀐다”

“스마트그리드는 50년 전 고속도로를 건설했을 때만큼이나 엄청난 변화를 몰고 올 것이다.”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스마트그리드 사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결정하면서 한 말이다. 이와 비슷한 말은 숱하게 발견할 수 있다. 스마트그리드 사업을 추진하는 국가치고 이런 유의, 거대한 변화를 예상하는 말을 하지 않은 곳이 없다. 영국은 제4차 기술혁명이라 하고 독일은 제3차 산업혁명이라 분위기를 띄우고 있다. 토머스 프리드먼은 ‘에너지 인터넷’이라는 근사한 표현을 붙이기도 했다. 하지만 가장 본질에 근접한 표현은 ‘제2차 전력혁명’이라고 할 수 있다. 전력은 처음 탄생한 이래 기본적인 개념을 100년 동안이나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해 송전소에서 공장이나 가정으로 보내면 그뿐이었다. 이것만 해도 대단한 발전이었다. 전기가 들어왔다는 것은 문명이 들어왔다는 것과 같은 의미였다.‘제2차 전력혁명’이라 불리는 스마트그리드 역시 거대한 문명의 변화를 몰고 올 것으로 예상된다. 김재..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