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 최고의 화두는 ‘중앙대 개혁’이다. 개혁이라는 단어가 사용된 만큼 긍정적인 시각이 대부분이다. 이는 대학에 적을 둔 교수나 교직원은 변화에 둔감한 ‘철밥통’이라는 곱지 않은 인식과 무관하지 않다. 결국 그런 철밥통을 깬다고 하니 대학가를 넘어 여론은 호의적일 수밖에 없다. 대학은 한번 들어가면 그야말로 천국으로, 신이 내린 직장이라고 여기는 사람들이 상당수다. 중앙대 개혁 시발점은 지난해 6월 두산그룹과 박용성 두산중공업 회장이 새 학교법인과 재단 이사장으로 참여하면서부터다. 두산그룹과 박 이사장의 이력을 놓고 볼 때 중앙대 개혁은 그 진폭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두산그룹 구조조정과 중앙대 개혁 ‘닮은점 & 다른점’

두산그룹 구조조정 했듯

“이름 빼고 다 바꿔!”

두산그룹은 원래 맥주, 콜라 등 식음료업을 위주로 하던 소비재 그룹이었다. 하지만 강도 높은 체질개선을 통해 단기간에 명실상부한 중공업 그룹으로 자리매김했다. 과감한 변신은 ‘주력업종을 바꾸지 않고서는 더 이상의 발전은 없다’는 맥킨지가 만든 컨설팅 보고서의 권고를 수용해 이뤄졌다.

결과적으로 두산이라는 간판만 놔두고 사실상 모든 것을 바꾸며 아무도 예상치 못한 변신을 이뤄냈다. 그 선봉 역할을 당시 그룹 회장이던 박 이사장이 맡았다. 그는 외환위기 직전인 1990년대 중반 “나에게 걸레면 남에게도 걸레”라는 말과 함께 알짜 기업 매각을 포함해 강력한 구조조정을 총괄 지휘, ‘구조조정 전도사’라는 별명을 얻었다. 특히 가업인 OB맥주까지 팔아치울 정도로 과감하게 구조조정작업을 진행했다. 재계의 ‘미스터 쓴소리’로 불리기도 하는 박 이사장은 의지가 곧고 강한 추진력에 변화를 중시하는 스타일이다. 좌고우면 하지 않는 거침없는 소신 발언은 트레이드마..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