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현 로완 대표 캘리포니아주립대 경제학, 현 위드마인드 자문위원,전 엡손 디지털 사업 자문위원,전 loT 월드 콩그레스 회원(헬스케어 분야) 사진 최정석 기자
한승현 로완 대표 캘리포니아주립대 경제학, 현 위드마인드 자문위원,전 엡손 디지털 사업 자문위원,전 loT 월드 콩그레스 회원(헬스케어 분야) 사진 최정석 기자

지난해 2월 한승현 로완 대표의 휴대전화로 국제전화 한 통이 걸려 왔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의과대학 정신과 교수인 질 리빙스턴이었다. 리빙스턴 교수는 지난 1998년부터 ‘란셋’ 등 세계 최고 수준의 권위를 가진 학회지에 300여 편의 논문을 실어 온 정신과 명의다. 

그런 그가 로완이 개발한 인지중재치료용 소프트웨어 ‘슈퍼브레인’을 영국 환자에게 써보고 싶다고 말했다. 영국 국립보건연구원(NHIR)으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아 임상을 진행할 것이며, 슈퍼브레인이란 제품명을 그대로 쓰겠다는 구체적 계획도 전했다. 인지중재치료란 학습지 풀이, 운동 등 방법으로 뇌에 자극을 줘 인지능력을 개선하는 의료행위다.

기존 인지중재치료는 인지능력 개선을 위해 제작한 학습지를 치매 환자들에게 나눠주고, 의료진이 환자 옆에 붙어 문제풀이를 돕는 식으로 이뤄졌다. 그런데 이를 위해선 치매 환자들을 한곳에 모을 공간과 이들을 장시간 돌봐줄 인력 등이 필요했기에, 병원이 오랜 기간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게 어려웠다.

이에 한 대표는 병원이 아닌 노인 복지관, 자택 등에서 환자가 의료진 도움 없이 혼자 인지중재치료를 할 수 있게끔 돕는 소프트웨어를 떠올렸다. 이후 2017년 로완을 설립해 인지중재치료를 위한 학습지 풀이 과정을 디지털화하는 사업을 진행했다. 2018년에는 인지중재치료용 디지털치료제 개발을 위한 정부 과제를 따내는 데 성공했다.

로완은 고혈압, 당뇨 등 치매로 번질 가능성이 큰 병이 있거나, 치매 바로 전 단계인 경도 인지장애를 앓는 60세 이상 환자 15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환자들을 각각 기관 치료군(복지관 등에서 슈퍼브레인 사용), 재택 치료군(집에서 각자 사용), 대조군(치료 없이 방치)으로 나눈 뒤 15개월 후 인지능력이 개선됐는지 확인했다.

그 결과 슈퍼브레인을 사용한 환자들은 15개월 전보다 인지능력이 개선됐다. 같은 기간 인지중재치료를 받지 않은 대조군은 인지능력이 떨어졌다. 슈퍼브레인 효과가 수치로 증명된 것이다. 최혜성 인하대 의대 신경과 교수가 주도한 이 연구 내용은 노화 분야에서 저명한 학술지인 ‘에이징(Aging)’에 실렸다.

리빙스턴 교수가 슈퍼브레인을 알게 된 계기도 이 논문이었다. 그는 지난해 말 영국 정부에 슈퍼브레인 임상 신청서를 제출, 올해 4월 최종 승인을 받았다. 슈퍼브레인은 앞으로 5년간 영국 정부 지원을 받으며 임상을 진행할 수 있다.

로완은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 절차에 쓸 자금을 모으기 위해 시리즈B 투자를 진행 중이다. FDA 승인을 받으려면 현지 대학병원들과 임상을 거쳐야 한다. 로완에 따르면 현재 하버드대 의과대학에서 슈퍼브레인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로완은 내년 초쯤 FDA에 슈퍼브레인 허가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한 대표를 최근 서울 중구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빌딩에서 만났다.

경도 인지장애 환자가 로완의 인지중재치료 프로그램 ‘슈퍼브레인’을 통해 치료를 진행 중이다. 사진 로완
경도 인지장애 환자가 로완의 인지중재치료 프로그램 ‘슈퍼브레인’을 통해 치료를 진행 중이다. 사진 로완

‘인지중재치료’라는 개념을 설명해달라.
“약물을 쓰지 않고 이뤄지는 인지장애 치료 방법이다. 기존에는 학습지가 주된 도구였다. 뇌에 지속적인 자극이 되는 간단한 문제들을 모아 학습지로 만들어 환자들이 풀게 하는 식이었다. 환자 옆에 의료진 혹은 복지관 직원 등이 붙어서 학습지 푸는 걸 지켜보고 환자 수준에 따라 학습지 난이도를 조정하는 식이었다.” 

슈퍼브레인은 그 과정을 디지털화한 건데, 학습지를 쓰는 게 문제가 있었던 건가.
“그렇다. 학습지를 풀게 하고 환자를 지켜보며 일일이 난이도를 고쳐주는 프로그램은 병원이 장기간 유지하기 어렵다. 환자들을 그렇게 모아둘 공간이 없고, 학습지 푸는 걸 지켜보는 데 쓸 인력도 없다. 병원도 결국 병원이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해 수익을 내야 살아남을 수 있다. 이미 최대한 효율적으로 공간과 인력이 배치된 상태에서 학습지를 푸는 형태의 프로그램이 낄 자리는 없었다.”

그렇다면 슈퍼브레인은 그 한계를 어떻게 극복한 건가.
“슈퍼브레인은 소프트웨어다. 태블릿 PC에 애플리케이션(앱)만 깔면 굳이 병원에 올 필요 없이 노인 복지관, 자택 등에서 환자가 혼자 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다. 성취도에 따라 커리큘럼이 알아서 맞춤 조정되기 때문에 누가 옆에서 보고 있을 필요도 없다. 병원에 공간과 인력이 부족하다는 한계를 그렇게 극복할 수 있었다.”

슈퍼브레인이 인지능력을 개선해주는 건 확실한가.
“확실하다. 그렇지 않으면 병원에 팔 수가 없다. 인지능력에 장애가 생긴 환자의 기억력, 시공간 구성력, 어휘력, 집중력 등을 평가하는 ‘RBANS 점수’라는 게 있다. 60세 이상 환자 150여 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15개월 동안 꾸준히 슈퍼브레인을 사용한 환자들은 해당 점수가 평균 5점 넘게 올랐다. 반면 같은 기간 슈퍼브레인을 포함해 아무 치료도 받지 않은 환자들은 점수가 평균 1점 남짓 떨어졌다. 이는 굉장히 유의미한 결과다.”

연구 결과 기반으로 논문은 안 썼나.
“연구를 주도한 최성혜 인하대 의대 신경과 교수가 논문을 썼는데, 노화 분야 학술지인 ‘에이징’에 실리기도 했다. 에이징은 소위 ‘SCI(Science citation index)’급 학술지로, 논문을 등재하기 위한 기준이 상당히 높다.”

저명한 학술지에 논문이 실렸다면 파급효과도 있었을 텐데.
“상당한 파급효과가 있었다. 영국 UCL 의대 정신과에 질 리빙스턴이라는 교수가 있다. 논문만 300편 넘게 썼고 그중 일부는 ‘란셋’ 같은 세계 최고 학술지에 올라가기도 했다. 그 교수가 지난해 2월 먼저 우리 쪽에 전화를 걸었다. ‘에이징’에 올라간 슈퍼브레인 논문을 보고는 자신도 슈퍼브레인을 영국 환자들에게 써보고 싶다고 제안했다. 슈퍼브레인이 국제적 차원에서 인정받았다고 확신하게 된 계기였다.” 

임상은 진행 중인가.
“올해 4월 영국 국립보건연구원으로부터 임상을 진행해도 좋다는 허가를 받았다. 현재 임상에 참여할 환자를 모으고 있다. 앞으로 5년간 UCL 의대가 영국 정부 지원금을 받으며 슈퍼브레인 효과를 검증한다.”

FDA 허가 신청도 준비 중이라 들었다.
“내년 초에 신청을 넣는 걸로 일단은 계획 중이다. FDA 허가 절차에 쓸 자금 마련을 위해 시리즈B 투자를 진행 중이다. 투자는 잘 되고 있다. 이미 투자를 확정한 대형 자금 운용사도 있다. 올해 말쯤 투자 유치가 끝날 것으로 예상 중이다.”

미국 의대 쪽에선 관심을 안 보이나.
“하버드대 의대가 관심을 보이고 있다. FDA 허가를 받으려면 현지 임상을 진행해야 하는데 벌써 하버드대 정도 되는 의료기관이 관심을 보이는 건 매우 고무적이다. 사업이 착실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뿌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