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철 강북삼성병원 교수  경북대 의대, 고려대 의대 박사,  현 미국 미네소타 대학 연구위원, 전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 연구소 소장 사진 강북삼성병원
신영철 강북삼성병원 교수 경북대 의대, 고려대 의대 박사, 현 미국 미네소타 대학 연구위원, 전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 연구소 소장 사진 강북삼성병원

넥슨의 창업주인 고(故) 김정주 NXC 이사가 별세한 지 한 달여가 지났다. 갑작스러운 비보로 많은 사람이 안타까워했는데, 고인이 우울증을 앓았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정신건강과 관리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신영철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국내에서는 사회적으로 지위가 높을수록 인생에서 좌절을 겪었을 때 더 큰 충격을 받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특유의 ‘체면 문화’ 때문에 자신의 실패가 남에게 알려지는 것을 두려워한다는 것이다. 신 교수는 “최고경영자(CEO)들은 평상시에 문제가 없더라도, 만약의 경우 (심리적)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는 쌓아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다만 “(조울증이나 우울증 같은) 기분 장애는 통제 가능한 범위에서 사업가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했다.

성공한 사람 가운데 넓은 의미의 ‘기분 장애(우울증이나 조울증)’를 겪는 경우가 많다. 프랭클린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과 존 F. 케네디가 대표적이다. 루스벨트 대통령은 식사 시간 빼고는 쉴 새 없이 말하는 다변(多辯)으로 유명했고, 케네디 대통령은 한자리에 앉아 있지 않고 계속 움직여서 백악관 의자를 두 개나 망가뜨렸다. 두 사람은 정상 범주를 넘어서는 ‘기분 고조형’ 성격이었지만, 오히려 이런 성격 덕에 대공황과 쿠바 미사일 위기를 돌파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신 교수는 2013년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를 개설하고, 조직 문화와 직장인의 마음건강 등을 연구했다. 신 교수를 4월 7일 강북삼성병원에서 만났다. 

 

김정주 넥슨 이사가 생전 우울증을 앓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성공한 기업인의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김 이사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한다. 다만 젊은 시절 크게 성공한 사람의 경우 실패의 경험이 없다 보니, 인생에 좌절이 왔을 때 맷집이 약할 수 있다.”

하지만 좌절이나 실패를 겪었다고 모두가 우울증에 걸리는 건 아니지 않나.
“한국은 ‘체면 문화’ 때문에 사회적인 좌절로 우울증을 겪는 사람이 많다. 자신의 체면이 깎일까 봐 좌절이 드러나는 것 자체에 두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어떤 좌절이 있나.
“대표적으로 이혼이 있다. 30년 결혼 생활 후 이혼을 하면 ‘내 인생 자체가 잘못’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30년간의 결혼 생활이 사라지는 것이 아닌데 말이다.”

우울증도 결국 스트레스가 원인인가.
“스트레스는 우울증을 드러나게 하는 촉발 인자다. 생물학적인 우울증은 스트레스와 무관하다. 다만 생물학적 기질과 환경적 요인이 결합하면서 증상이 드러나게 된다.”

우울증이나 조울증 기질을 자신이 모를 수도 있나.
“환경이 좋으면 드러나지 않았을 우울증 증상이 스트레스 받으면 나타날 수 있다. 사업적으로 성공한 사람 가운데 넓은 의미의 기분 장애가 있는 경우가 있다. 에너지가 약간 과한 듯 넘치는 기분 장애는 오히려 사회적 활동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우울한 상태에서 스트레스를 받으면 병증이 악화할 수 있다.”

CEO 심리 상담은 주로 어떤 주제로 하나. 
“국내 CEO들은 리더십 교육을 많이 받는다. 그런데 나는 여기에 멘털 코칭도 필요하다고 본다. 대부분의 50~60대 임원은 큰 문제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조금만 깊이 들어가면 직원 관리, 회사 경영 문제에서 가족 문제로 고민이 넘어간다. 대개 CEO들은 가족과 사이가 좋지 않다고 호소한다.”

가족 관계에 문제가 있다는 게 어떤 뜻인가.
“아버지와 아들 사이가 좋은 경우를 보기 힘들다. 훌륭한 아버지 밑에서 힘들어하는 아들들이 많다. 집에 가서도 자기 부하 대하듯 가족을 지적하는 CEO들이 많다. 요즘은 딸과의 관계 악화를 토로하는 CEO들도 있다.”

아들과 관계가 좋지 않은 것은 모든 대한민국 아버지의 고민 아닌가.
“성공한 기업인 중에는 부하들과 경쟁하는 사람도 있다. 어릴 때부터 좌절을 딛고 일어서는 승부를 반복하다 보니 가장 높은 위치에 올라 놓고도 만족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뭐든지 자신이 제일 잘해야 한다는 자세는 관계를 틀어지게 한다.”

이런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이런 심리의 밑바닥에는 두려움과 열등감이 있다. 은퇴한 이후에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는 문제가 대표적이다. 심리적 어려움이 생겼을 때 네트워크를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힘들 때 도움받을 사람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엄청난 위안이 된다.”

직장인의 정신건강을 해치는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
“직장인 스트레스의 90%는 인간관계에서 온다. 회사 보고 들어와서 상사 보고 나간다는 말도 있지 않나. 자신을 괴롭히는 직장 동료가 바뀔 것 같지 않으면 괴로워진다. 물론 동료, 후배 스트레스도 있다.”

인간관계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수용할 부분과 수용하지 못할 것을 알려줘야 한다. 예를 들어 상사와 갈등이 있다고 하자. 이것이 상사의 문제인가, 나의 문제인가, 아니면 관계의 문제인가를 파악해야 한다. 상사에게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다른 조직원들과 대화를 나눠봐야 한다. 다른 조직원도 힘들어하는 것이 확인되면, 더 윗선에 보고해서 해결할 수 있고 상사가 상처받지 않는 범위에서 대화로 풀어갈 수도 있다.”

상사가 잘못한 게 확인됐는데, 상사 기분까지 챙겨야 하나.
“한국은 ‘체면의 문화’가 있다고 했다. (그러니 잘못했다가는 사고가 날 수 있다.) 상대방의 체면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소셜 스킬이 필요하다. 그런데 가는 곳마다 상사와 트러블이 생긴다면 의외로 나의 문제일 수도 있다.”

내 문제라고 파악되면 어떻게 조언하나.
“쿨하게 수용하고 그 회사에서 퇴직할 수 있도록 조언한다. 그래도 회사를 계속 다니고 싶다고 한다면 문제 되는 사람과는 거리를 두라고 한다.”

코로나19로 우울증 환자가 늘었다는데. 
“최근 신경성 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고령층 환자가 늘었다. 코로나19로 노인대학, 문화센터, 수영장이 문을 닫으면서 고령층에 대한 사회적인 기능을 할 장소가 사라졌다. 나이가 들수록 사람을 만나고 자극을 받아야 하는데, 이런 장소가 문을 닫으면서 자극이 없어지니 스트레스가 커졌다.”

코로나19로 20~30대도 좌절을 많이 느낀다고.
“코로나19 같은 재난은 내가 노력한다고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개인의 노력으로 상황을 바꿀 수 있으면 큰 문제가 없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좌절과 분노가 나타난다.”

이런 좌절감은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내가 해결할 수 있는 일은 해결하고, 어떻게 할 수 없는 것은 수용해야 한다. 쓸데없는 고민을 뭐하러 사서 하나.”


신 교수는 ‘쓸데없는 고민’의 예로 결벽증에 걸려서 내원한 고등학교 3학년 환자를 들었다. 이 환자는 손에 병균이 있다며 하루 종일 손만 씻었다고 한다. 신 교수는 “그 학생의 진짜 문제는 손에 있는 병균이 아니라, 자기가 진짜 고민해야 하는 것을 피하려는 것”이라며 “눈앞에 닥친 자신의 할 일, 대학 입시를 직시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결벽증이나 우울증 환자들이 자신의 인생에서 진짜 고민해야 하는 게 무엇인지 관심을 갖게 해 주는 것이 문제 해결의 시작이라는 것이다. 해결할 수 없는 문제로 끙끙대는 현대인에게 신 교수는 ‘쿨하게’ 말했다. 걱정한다고 걱정이 없어지지 않는다. 걱정은 그만 접고 재빨리 현실로 돌아오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