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에 들어선 파크원 단지 전경. 사진 포스코건설
서울 여의도에 들어선 파크원 단지 전경. 사진 포스코건설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로 멀리서도, 한눈에 들어오는 고층 빌딩 단지 ‘파크원’. 빨간 크레용으로 테두리만 굵게 덧칠한 듯한 69층짜리 이 빌딩은 회백색으로 가득한 서울 스카이라인 경관에 신선한 충격을 준다. 준공 직후까지도 붉은 기둥을 둘러싼 대중의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렸지만,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속에서도 이곳은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지는 서울의 대표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했다.

서울 여의도에서 가장 높고 국내에선 세 번째로 높은 건축물인 파크원은 대지면적 4만6465㎡에 지하 7층~지상 53·69층 오피스 빌딩 2개 동과 8층 규모의 리테일 1개 동, 31층짜리 호텔 1개 동 등 총 4개 동으로 구성된 여의도 유일의 대형 복합 문화시설이다.

현재 국내 초고층 건물 중에서는 서울 롯데월드타워(555m)가 가장 높고 부산 엘시티(412m), 서울 파크원(318m), 인천 포스코타워(305m), 부산 두산 위브더제니스(300m)가 그 뒤를 잇는다. 파크원의 연면적은 62만9047㎡로, 여의도 IFC의 약 1.3배, 63시티의 4배에 이른다.

‛새롭고 창의적인 건축 디자인으로 도시의 미적 가치를 높이고, 미래 건축 기술을 주도하는 상징적 복합공간으로 만들자’”라는 의도로 설계자들은 파크원을 구상했다고 한다. 파크원은 프랑스 파리 퐁피두센터, 영국 런던 그리니치 반도의 밀레니엄돔 등을 설계한 세계적 건축가 리처드 로저스의 RSHP와 시아플랜건축이 설계를, 포스코건설이 시공을 맡았다.


하이테크 건축의 상징 붉은 기둥

파크원을 디자인한 리처드 로저스는 최신 공학 기술을 바탕으로 건축의 기능, 재료, 구성, 시공법을 실험하는 ‘하이테크’ 건축의 대가다. 그는 한국 전통 건축의 기둥 형상을 담아내기 위해 철 구조물인 모서리 기둥을 한국 전통 건축양식에서 위엄과 품위를 상징하는 ‘자적색’으로 물들였다.

조원 시아플랜건축 대표는 “건축가의 시선에서 (붉은 기둥은) 매우 건축적이고 기술적인 솔루션으로 제안된 것”이라고 말했다. 파크원 건물 외관의 붉은 기둥은 과감한 색을 썼다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건축물 공간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한 설계라서다.

파크원 설계 특징 중 하나는 건물 외부 모서리에 8개의 대형 기둥과 이를 서로 연결해주는 대형 버팀대의 조립식 구조다. 건물 하중을 바깥쪽 큰 기둥이 버텨줘 안전한 데다 사무실 가운데에 기둥이 없어 더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시공사인 포스코건설은 프리미엄 철강재를 활용했다. 파크원에 사용된 철강재 6만3000t 중 약 70%인 4만3000t이 고강도 특성을 가진 ‘TMCP(열처리 제어 공정) 강’이다. 조 대표는 “파크원의 붉은색 철골 트러스 외관과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이 회백색의 주변 경관과 대비되는 독특한 매력으로 여의도의 이미지를 새롭게 바꾸는 것은 물론, 서울의 도심을 관통하는 한강 변에서도 가장 눈길을 끄는 효과를 내고 있다”고 말했다. 트러스는 대형 건물의 지붕 밑 공간에 설치되는 철골 뼈대를 말한다.


하늘에서 내려다 본 파크원 오피스 동 옥상. 사진 시아플랜건축
하늘에서 내려다 본 파크원 오피스 동 옥상. 사진 시아플랜건축

지붕에 있는 여덟 개의 크레인, 텐트 원리로 기둥 없앴다

파크원은 비즈니스와 휴식, 쇼핑 등을 단지 내에서 모두 누릴 수 있도록 조성됐다. 단일 오피스로는 국내 최고 높이이자 최대 규모인 오피스 타워와 대지 전체를 아우르는 형상으로 배치된 호텔 타워 사이에 서울 최대 규모의 상업시설(리테일)이 들어섰다. 특히 리테일 동은 외벽의 붉은색 크레인 때문에 ‘아직도 공사 중이냐’는 오해를 사기도 하지만, 탁 트인 개방감이 느껴지게 하는 장치로 작용하고 있다.

리테일 동 ‘더현대서울’ 건물은 8마리의 학(크레인 구조물)이 지붕(방패연)을 지지하는 형상이다. 설계자들은 이곳의 천장부에 연 구조 시스템을 도입해 가로 130m, 세로 60m의 기둥이 없는 무주공간(無柱空間)을 만들어 지상 5층 규모의 국내 최대 실내정원과 새로운 개념의 문화, 체험, 휴식 공간을 탄생시켰다.

조 대표는 “백화점 건물 상층부의 크레인 구조는 기둥을 없애고 넓은 공간을 활용해 건축물의 실용성을 높인 하이테크 구조의 기술력을 보여주는 부분”이라면서 “한국 전통 방패연을 형상화한 백화점 천장부의 거대 창을 통해 건물 전체에 자연 채광이 들어오게 했다”고 설명했다.

붉은 크레인이 천장부를 떠받치면서 중앙 기둥 없이 건물 하중을 떠받치는 구조는 어떻게 가능할까. 텐트를 치는 원리를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다. 텐트를 칠 때 내부 중앙 기둥을 세우는 게 아니라 각 모서리의 끈을 팽팽하게 잡아당기듯, 크레인이 건물 내 지붕을 들어 올려주는 것이다.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위성항법장치(GPS)와 3D 스캐너를 이용해 국내 최초로 건물 가장자리에 8개의 대형 기둥을 세우고, 기둥 사이를 사선 형태의 대형 버팀대로 연결해 중심을 받치는 ‘메가 프레임’ 구조를 적용한 것”이라고 말했다. 기존 국내 초고층 빌딩들은 건물 중심축인 코어와 대형 기둥을 연결하거나 철골 기둥끼리 단단하게 연결하는 ‘아웃리거·벨트 트러스 방식’으로 지어졌는데, 이와는 다른 방식이다.

파크원은 이런 설계와 시공력을 통해 중앙 대형 기둥이 없는 개방된 쇼핑 공간을 만들었고, 구조물을 드러내는 구조 표현주의로 건축물의 차별성도 높일 수 있었다.


더현대서울의 실내 공원인 사운즈 포레스트. 사진 현대백화점
더현대서울의 실내 공원인 사운즈 포레스트. 사진 현대백화점

땅 산 지 40년 만에 빛 보다

파크원 부지는 원래 통일교재단이 1980년대에 세계선교본부를 짓기 위해 사들인 땅으로, 통일주차장 부지로 사용돼왔다. 그러다 고(故) 문선명 통일교 총재의 셋째 아들인 문현진씨가 말레이시아 법인 APD 등을 통해 100% 출자한 시행사 Y22를 앞세워 2007년 착공에 들어가며 파크원 개발 프로젝트에 시동을 걸었다.

하지만 2010년 11월 토지 소유주인 통일교재단과 시행사인 Y22 간의 지상권 설정 관련 소송을 시작으로 공사는 중단됐다. 이후에도 Y22 측은 오피스 2개 동을 국내외 기관투자가에 선매각하려고 했지만, 재단 측에서 문제 삼는 등 파열음이 잇따랐다. 결국 2014년 Y22가 최종 승소하면서 2016년 공사를 재개할 수 있었다. 소송 과정에서 최초 시공사였던 삼성물산의 공사 계약은 해지됐고, 포스코건설이 새 시공사로 선정돼 프로젝트를 이어갔다. 현재 파크원 4개 동 가운데 지상 53층짜리 오피스 1개 동(타워2)은 NH투자증권이 주인이다. 작년 NH투자증권이 사들여, 본사를 이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