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도환 GS건설 건축·주택디자인팀 책임 한양대 도시공학 박사, 현 서울주택도시공사 건설자문위원 / 사진 조선비즈 DB
박도환 GS건설 건축·주택디자인팀 책임
한양대 도시공학 박사, 현 서울주택도시공사 건설자문위원 / 사진 조선비즈 DB

“20년 전엔 조경이란 개념이 없었다. 그냥 나무 심는 것 정도로 생각했다. 그런데 이젠 달라졌다. 다양한 수목뿐 아니라 어린이놀이터, 주민운동시설, 순환 산책로 등 아파트 단지를 풍요롭게 해주는 모든 것이 조경이다.”

박도환 GS건설 건축·주택디자인팀 책임은 조경 전문가다. 2003년부터 GS건설이 짓는 ‘자이(XI)’ 아파트의 조경을 맡아 왔다. 이제껏 가장 혁신적인 조경으로 꼽히는 서울 서초구의 ‘반포자이’ 조경도 그의 손을 거쳤다. 반포자이는 처음으로 단지 내에 물놀이 시설을 설치한 아파트로 유명세를 얻었다. 요즘엔 웬만큼 신경 써서 만든 신축 아파트엔 대부분 물놀이 시설이 있다.

물놀이 시설을 어떻게 넣게 됐느냐는 물음에 대한 그의 답이다. “괌에 있는 리조트의 카약장을 벤치마킹한 것이었다. 조경은 트렌드 변화가 좀 빠른 편인데, 카약장 같은 새로운 아이템을 발 빠르게 적용해 아파트 조경 트렌드를 이끌 때는 성취감이 크다. 그런 면에서 좀 오래되긴 했지만 여전히 제게 가장 기억 남는 프로젝트이기도 하다.”

박 책임은 지금도 조경 연구를 게을리하지 않는다. 최근 그의 가장 큰 고민은 2023년 준공을 앞둔 개포 프레지던스 자이의 조경이다. 여기에서 그는 또 한 번 조경 트렌드를 이끌 아이템을 선보이기 위해 골몰하고 있다. 그가 생각하는 훌륭한 조경은 무엇일까.


2009년 입주한 서울 반포동 ‘반포자이’ 단지 내 미니카약장. 사진 GS건설
2009년 입주한 서울 반포동 ‘반포자이’ 단지 내 미니카약장. 사진 GS건설

아파트 단지의 조경을 정의하면
“건축을 전공하면 건물을 디자인하듯이, 조경은 대지를 디자인한다고 보면 된다. 아파트 설계를 할 때 먼저 건축에서 건물 위치가 정해지고, 그에 맞춰 동선 계획이 수립된다. 놀이터, 운동시설, 휴게공간 등이 연속적으로 계획되는 과정에서 조경도 설계된다. 199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조경은 법적인 최소한의 요건만 충족하면 됐다. 그러나 2000년대 초반, 건설사마다 아파트 브랜드를 새로 만들고 경쟁하기 시작하면서 조경의 위상이 높아졌다. 현재 아파트 조경은 단지 건립 과정에서 부수적인 요소가 아니라 핵심적인 부분이 됐다.”

조경이 핵심적 요소라는 게 무슨 말인가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장에서 다른 건설사와 수주 경쟁을 하면서 조합원들을 상대로 설문 조사한다. 지금까지 경험한 모든 현장에서 조경은 요구 사항 세 손가락 안에 들었다. 조경이 아파트의 경제적 가치와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가 됐다는 의미다. 소비자의 요구가 섬세해지는 것에서도 조경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조경이란 요소가 처음으로 주목받기 시작할 때는 고가의 좋은 소나무를 심어 달라는 요구가 많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단지를 순환할 수 있는 산책로나 잔디광장 같은 개방된 공간을 만들어 달라는 식으로 입주민의 삶과 연결된 구체적인 요구를 많이 받는다.”

조경의 구성 요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우선 조경을 구성하는 요소에 대해 알 필요가 있다. 조경을 구성하는 요소는 매우 다양하다. 크게 수목과 초화류(草花類·꽃이 피는 종류의 풀)로 나뉜다. 수목 중 교목(喬木·높이가 8m를 넘는 나무)은 단지 경관의 골격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고, 관목(灌木·키가 작은 나무)과 초화류는 계절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재료다. 조경은 적재적소에 배치되는 수목과 초화류, 어린이놀이터나 수경시설 등의 시설물들이 어우러져 완성된다. 모든 요소가 조화를 잘 이루기 위해 나무 한 주를 심더라도 어떻게 배식(培植)할 것인지, 놀이터와 운동시설 등을 계획할 때는 가구 간 사생활 침해 문제는 없는지 등 고민할 점이 많다. 다양한 요소가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골격을 잡아주는 수목의 배식이라고 생각한다. 수목의 배식은 집을 떠받치는 뼈대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서울 서초동 ‘서초그랑자이’ 단지의 팽나무. 사진 GS건설
서울 서초동 ‘서초그랑자이’ 단지의 팽나무. 사진 GS건설

최근 조경 트렌드는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공공의 성격이 강하고 넓은 공원 같은 조경에서 프라이빗한 정원 형태의 공간으로 변하고 있다. 특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를 유지하면서 더 사적이고 더 소규모를 위한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최근 아파트 조경은 자연과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여행에서 느낄 수 있던 감성까지 더해지길 바라는 이들도 많다. 리조트나 호텔 같은 편안하면서도 고급스러운 조경이 점차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조경 아이템도 바뀌기 시작했다. 예전에는 생태연못이나 전통정자, 목재를 이용한 벤치 등 한국적인 소재가 주를 이뤘다. 최근에는 철재, 라탄 등 다양한 마감재를 사용하고 있다. 밤에도 조경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조명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조경도 단지마다, 지역마다 차이가 있나
“우선 지역마다 생육 가능한 수목이 다르다. 대전을 중심으로 이남과 이북 지역으로 나눈다. 위쪽 지역은 겨울에 더 춥기 때문에 자작나무 같은 추위에 강한 수목을 사용하고, 아래 지역에는 더위에 강한 동백나무, 후박나무 등을 많이 반영한다. 최근에는 기후 온난화로 남부지방에 많이 적용되던 수목들이 대전 이상의 지역에도 사용되고 있다. 단지 간 차이는 최소화하려고 한다. 자이라는 이름을 가진 모든 아파트 단지의 조경을 일정 기준 이상으로 맞춘다. GS건설은 ‘자이 조경 디자인 매뉴얼’을 갖고 있어서, 어떤 단지에 가더라도 공통된 콘셉트가 있다. 자이의 시그니처 공간인 ‘엘리시안 가든’이 대표적이다. GS건설에서 시공한 아파트에는 모두 적용돼 있다.”

어쩌다가 제주 팽나무가 아파트 단지까지 진출하게 됐나
“GS건설이 운영하는 엘리시안 제주CC를 휴식할 겸 방문했는데, 입구부터 심어진 팽나무가 눈에 들어왔다. 팽나무는 제주 바닷바람을 맞고 자라 가지가 많이 휘어 있다. 그동안 봐왔던 조경수들과 전혀 다른 형태였다. 문득 팽나무를 GS건설 조경의 상징 수로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팽나무가 서울에서도 생육 가능한지 확인해봤더니, 바람과 추위에 강해 서울에 심어도 죽지 않는다고 했다. 이후 팽나무는 물론 화산석 등 제주도의 환경을 조경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엘리시안 가든이란 이름도 엘리시안 제주에서 가져왔다.”

GS건설 조경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GS건설은 자이라는 아파트 브랜드를 출시한 이후, ‘숲’이라는 정체성을 바탕으로 조경을 계획했다. 여기서 말하는 숲이란 우리가 생각하는 나무가 우거진 숲이 아니다. 초화류, 관목 등 다양한 수종을 통해 깊이감이 있는 다층식재를 활용한 자연형 숲을 의미한다. 사람이 숲속 길을 걷다 보면, 발걸음 가까이로 예쁘게 핀 꽃을 볼 수 있다. 그 뒤로는 키가 작은 관목이 있고, 높이가 2~3m 되는 중교목이 차례대로 자라고 있다. 이를 아파트 단지 조경으로 가져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