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조각 투자 1호 플랫폼 카사에 상장된 건물인 서울 서초동 ‘서초지웰타워’ (왼쪽)와  서울 광희동 ‘부티크 호텔 르릿’. 사진 카사
부동산 조각 투자 1호 플랫폼 카사에 상장된 건물인 서울 서초동 ‘서초지웰타워’ (왼쪽)와 서울 광희동 ‘부티크 호텔 르릿’. 사진 카사

건물 지분을 주식처럼 소액으로 사고팔 수 있는 거래소, 이른바 ‘부동산 조각 투자’ 플랫폼들 간 경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1호 플랫폼인 ‘카사’에 이어 세종텔레콤의 ‘비브릭’, 루센트블록의 ‘소유’, 펀드블록글로벌의 ‘펀블’도 최근 서비스를 개시했다.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세종텔레콤은 4월 25~27일 첫 상장 건물인 부산 초량동 ‘엠디엠(MDM)타워’의 공모를 진행해 완판에 성공했다. 공모액은 170억원, ‘브릭’이라는 1000원짜리 수익증권 1700만 좌로 쪼개어 발행했다. 블록체인(분산원장)으로 투자자의 지분 소유권을 공증하는 형식이다.

이용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비브릭을 통해 브릭을 사고팔 수 있다. 지분에 따라 건물의 임대수익을 나눠 갖고, 브릭을 팔면 건물 시세에 따라 차익이나 손실을 볼 수 있다. 나중에 투자자 합의로 건물을 매각해서도 차익을 얻을 수 있다. 세종텔레콤은 브릭 거래를 중개하고 수수료를 받는다. 거래 수수료율은 카사와 같은 0.22%다.

카사와 비교해 비브릭이 갖는 특장점은 레버리지 투자, 이른바 ‘빚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금융위원회 규제 샌드박스 사업인 카사는 투자자가 자기자본으로만 수익증권에 투자할 수 있도록 허용된 반면, 중소벤처기업부 규제 샌드박스 사업인 비브릭은 일반 펀드처럼 대출을 통해 투자수익을 극대화하는 레버리지 투자가 가능하다고 한다.

실제로 카사가 상장시킨 건물 5채의 가치는 각자 공모액 기준으로 16억4000만~102억원, 총 265억원이다. 반면 비브릭 앱에 따르면 비브릭의 첫 상장 건물 MDM타워 하나의 가치만 현 시세로 387억7000만원이다. 비브릭은 이 중 170억원만 일반 투자자 공모를 받고 나머지 217억7000만원은 은행 대출로 충당했다. 임대수익과 향후 건물 매각차익은 100% 일반 투자자에게 돌아간다.

카사는 대신 서울 강남, 여의도 등 역세권 지역의 건물을 취급하며 경쟁사보다 안정적인 임대수익과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운다. 비브릭은 부산에서만 시범 서비스가 가능한 반면, 카사는 지역 제한이 없다. 또 이미 5건의 상장과 수익 실현 과정을 경험한 덕에 이용자들의 신뢰도가 비교적 높다는 장점도 있다. 지난 2년간 상장시킨 4개 건물은 모두 공실 없이 꾸준히 임대수익을 내고 있고, 3호 상장 건물인 역삼 한국기술센터는 7개월 만에 매각하며 투자자들이 매각차익과 배당을 더해 수익률 15%를 달성했다. 5호 건물인 동대문 ‘부티크호텔 르릿’은 4월 19일 공모 개시 5분 19초 만에 총 44만 댑스(DABS·수익증권 단위로 1댑스에 5000원)가 완판됐다. 카사 앱 이용자 수는 15만 명이다.

카사는 2021년 9월 싱가포르투자청(MAS)의 허가를 받아, 올해 상반기 현지 거래소를 출시할 예정이다. 해외 부동산을 상장시키고 해외 이용자도 플랫폼에 끌어들이겠다는 것이다. 국내 이용자도 해외 부동산 투자가 가능해진다.

비슷한 서비스인 소유와 펀블도 최근 출시됐다. 소유는 투자자가 건물 수익증권을 갖는 걸 넘어 건물에 입점한 브랜드를 이용하면 여러 혜택을 얻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이제껏 개인 투자자들이 할 수 있는 부동산 투자라곤 아파트뿐이었는데, 새로운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투자 기회를 얻을 수 있다”며 “이것이 당국이 규제를 풀어준 취지”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