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AFP연합
사진 AFP연합
사진1,2 AP연합
사진1,2 AP연합

중국에서 ‘제로 코로나’ 정책에 대한 반발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반대 시위는 11월 26일(이하 현지시각) 상하이 우루무치중로에 모인 수천 명으로부터 시작됐다. 당초 이들은 11월 24일 코로나19 봉쇄를 위해 설치한 철제 울타리 탓에 소방차가 진입을 못 해 10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우루무치시 화재 사고를 추모하기 위해 모인 것이었다. 하지만 평온했던 촛불 집회는 11월 27일 오전 0시를 넘기며 항의 시위로 바뀌었다.

시위 장소도 베이징 차오양구 량마허 인근 도로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모교인 칭화대 등으로 확산됐다. 11월 26~28일 중국 내 50여 대학에서 시위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에서 11월 28일까지 철야 시위를 벌인 참여자들은 중국 검열에 대항하는 의미로 아무것도 쓰여 있지 않은 흰 종이를 들고 ‘전국 봉쇄 해제’ ‘시진핑 물러나라’ ‘공산당 물러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큰 사진). 백지 시위는 2020년 홍콩 국가보안법 반대 시위에서도 등장한 적이 있다. 미국의소리(VOA) 중문판은 “중국에서 3년 전 코로나19가 발생한 이래 민중이 공개적으로 외친 가장 대담하고 급진적인 구호”라고 평가했다. 경찰은 최루탄 등을 쏘며 시위대를 해산했고, 일부 시위자를 제압해 연행하기도 했다(사진 1). 이후 당국의 강경 단속으로 반발은 잠시 잠잠해졌지만, 11월 29일 밤 또다시 광저우에서 시위가 벌어졌다. 반대 시위는 해외로도 퍼져나갔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11월 28일 “모든 사람은 평화적으로 시위할 권리가 있다”며 “중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코로나19를 억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홍콩, 미국 뉴욕,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 일본 도쿄 등 전 세계 최소 12개 도시에서 연대 시위가 열렸다. 11월 29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한 대학에서는 학생 시위대가 시 주석의 사진을 들고 정권 퇴진 구호를 외치기도 했다(사진 2).

중국은 물론 전 세계에서 반중 시위가 확산되면서 시 주석이 1인 권력을 강화한 집권 3기를 시작하자마자 시험대에 올랐다는 평가가 나온다. 제로 코로나 정책을 완화하면 앞으로 정책 반대 시위가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다. 반대로 항의 시위를 그대로 둘 경우 사회 통제가 풀려 그 여파의 끝을 가늠하기 힘든 상황이다.

이주형 기자
이코노미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