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제나 수면유도제는 불면증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법이 아니다. 부작용을 막기 위해 복용 시 반드시 의사와 상담해야 하고, 나아가 불면증의 근본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면제나 수면유도제는 불면증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법이 아니다. 부작용을 막기 위해 복용 시 반드시 의사와 상담해야 하고, 나아가 불면증의 근본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불면증 같은 수면장애로 병원을 찾는 국내 환자가 50만 명 이상으로 집계되면서, 수면제와 수면유도제에 대한 궁금증도 늘어나고 있다. 사실 수면제와 수면유도제는 전혀 다른 약물이다. 수면제는 주로 불안한 마음을 안정시켜 주는 신경안정제, 즉 항불안제를 가리킨다. 항불안제로 쓰이는 벤조다이아제핀 계열 약물은 불안뿐만 아니라 수면유도, 근육 이완, 경기나 발작 예방 등의 다른 작용도 한다. 오랜 기간 사용 시 약물의존도가 높아지고, 뇌 기능을 떨어뜨리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보완해 수면유도 기능만 선택적으로 작용하게끔 만든 것이 비(非)벤조다이아제핀 수면유도제다. 대표적으로 졸피뎀이 있다. 졸피뎀은 수면을 유도한 뒤 몸에서 빠져나가기 때문에 벤조 계열의 항불안제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하지만 수면유도제도 장기간 오남용하면 당연히 부작용이 발생한다. 졸피뎀의 자려고 하는 힘과 수면장애의 자지 않으려고 하는 힘이 충돌해 몽유 증상, 수면 중 섭식 장애 등이 나타나는 것이다. 졸피뎀을 자주 복용하면 내성이 생겨 복용량을 늘리게 되는데, 이럴 경우 수면 장애가 심해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안전하게 수면제나 수면유도제를 복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꼭 의사에게 처방받고, 정해진 용법·용량을 지켜야 한다. 또한 불면증 증상 때문에 3주 이상 약물을 복용하고 있다면,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불면증과 질환의 근본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수면제나 수면유도제는 치료제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불면증 원인에 따라 치료법 달라

불면증은 크게 일차성 불면증과 이차성 불면증으로 나뉜다. 일차성 불면증은 잠을 자려는 과도한 노력이 오히려 긴장을 강화해 불면증이 생기는 것이다. 이런 상황이 3주 이상 지속되면 만성 학습 불면증으로 발전한다. 밤만 되면 잠 걱정이 생기는 사람들이 여기 해당하는데, 인지행동치료가 효과 있다. 불면증을 유발하는 높은 각성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역기능적 사고(수면과 관련한 비합리적 생각들)를 보다 적응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로 바꿔주는 치료법이다.

이차성 불면증은 확연히 잠을 못 자는 수면장애가 있는 경우다. 역시 3주가 지나면 학습화가 된다.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후군 등의 증상이 잦은 각성이나 야뇨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차적 원인은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원인을 찾고 치료받으면, 잠을 잘 잘 수 있게 된다.

이외 시차 적응이나 밤샘 작업, 벼락치기, 방학이나 긴 휴가 등으로 수면 리듬이 깨져서 오는 단기 불면증은 빛치료가 효과적이다. 아침에 밝은 빛에 노출되고 15시간이 지나면 활동일 주기를 조절하는 멜라토닌 호르몬이 분비되면서 잠을 자게 되는데, 수면 리듬이 깨져 아침 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늦춰지면 밤에 잠이 오지 않거나 수면 질이 떨어질 수 있다. 한 번에 빛 노출 시점을 많이 당기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하루에 30분씩 시간을 앞당기는 것이 좋다. 원하는 시간에 빛을 볼 수 없는 환경이라면 2000lux(럭스) 이상의 인공빛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