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셔터스톡
사진 셔터스톡
김범택 아주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현 아주대병원 비만클리닉 소장, 현 대한골다공증 학회 부회장
김범택 아주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현 아주대병원 비만클리닉 소장, 현 대한골다공증 학회 부회장

Q 교수는 요즘 잠들기가 어려워 낮에 많이 피곤해서 졸게 된다. Q 교수는 밤마다 침대에 누우면 어쩐지 다리가 왠지 불편하고 당기고 쑤시며 저리고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느껴져 견디기 힘들다. 어떤 때는 다리가 근질근질하고 벌레가 기어가는 듯한 느낌도 든다. 이런 증상은 일어나서 조금만 왔다 갔다 하면 가라앉는데 문제는 침대에 누우면 다시 다리가 불편해진다. Q 교수는 혹시 다리에 혈액 순환이 되지 않는 것인가 생각해 혈액 순환 개선제를 먹어 봤지만, 전혀 호전이 없었다. 점점 증상이 심해지자 Q 교수는 중풍이 걱정돼 A 대학 병원 가정의학과에 내원했다. 의사가 그에게 하지불안증후군이라고 알려주자, Q 교수는 “다리도 불안해요?” 하고 되물었다.

사실 하지불안증후군(restless leg syndrome)은 정확히는 쉬지 못하는 다리 증후군으로 해석된다. 다리를 계속 움직여야만 편하고, 눕거나 앉아서 쉴 때면 다리에 근질거리는 이상 감각과 초조함이 느껴지고 다리를 자꾸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낮에도 생길 수 있지만, 특히 밤에 심해지기 때문에 환자는 주로 잠을 못 자 병원을 찾게 된다. 의사들도 자세히 물어보지 않으면 불면증으로 오진하기 쉽고 수면제도 잘 듣지 않는다. 국내 유병률은 성인에서 7.5%나 됐고 연령이 높을수록 더 흔하다.

아직 하지불안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뇌에서 도파민이라는 신경 전달 물질을 올리는 약물에 반응하는 것으로 봐서 도파민 부족과 관련이 있다고 사료된다. 도파민을 만들 때 철분이 필요하므로, 철분이 부족하면 철 결핍성 빈혈과 함께 하지불안증후군도 생길 수 있다. 젊은 나이에 발병한 경우 절반은 가족력이 있다. 스트레스는 증상을 악화한다. 다리의 혈액 순환 장애, 말초 신경 손상, 당뇨병, 만성 신부전, 전립선염 및 방광염 같은 질환 때문에 이차적으로 나타나거나, 임신 후반부에 생기기도 한다.

만약 다음 5가지 증상이 모두 나타나면 하지불안증후군으로 진단할 수 있다. ①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강한 충동과 함께 다리에 불쾌한 느낌이 든다. 심할 경우 팔을 움직이고 싶은 충동도 느낀다. ② 앉거나 누운 자세 또는 휴식을 취하고 있을 때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심해진다. ③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나 불쾌한 감각이 걷거나 스트레칭과 같은 운동에 의해 완화되거나 없어진다. ④ 저녁이나 밤에만 나타나거나 혹은 낮에도 생기지만, 밤에 더 나빠진다. ⑤ 이런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의학적 원인이 없다.

하지만, 하지불안증후군이 다리에만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상지, 어깨 등이나 드물지만, 코끝에도 증상이 있을 수 있다. 환자의 80% 정도는 수면 중에도 사지 떨림을 경험한다. 또 우울증 등 정신 질환이나 고혈압, 심혈관 질환 발생과도 연관이 있다.

하지불안증후군은 증상이 심하지 않고 자주 나타나지 않는 경증의 경우, 비약물 치료를 시행한다.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는 일정한 시간에 자고 일어나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좋다. 커피, 콜라, 녹차 등 카페인 음료나 흡연, 음주는 증상을 악화할 수 있어 자제하고, 잠들기 전 요가나 명상 같은 이완 요법은 스트레스를 줄여줘 좋다. 온도가 떨어지면 증상이 악화되므로 바지와 핫팩, 무릎 담요나 족욕으로 다리를 따뜻하게 하는 게 좋다. 또한 발·다리 마사지, 스트레칭이나 가벼운 운동도 효과적이다. 철분 결핍이 있는 경우에는 철분제를 복용하면 증상이 좋아진다. 만약 증상이 심해 수면 장애까지 생기는 경우 의사와 상의해 수면 다원검사 후 약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킨슨병 치료제로 알려진 도파민 제제는 대개 복용 후 1~2주 내 상당한 호전을 보인다. 빠르면 복용 하루 만에 효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장기간 복용 시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도 있어 최근에는 ‘프레가발린(Pregabalin)’ ‘가바펜틴(Gabapentin)’ 같은 항경련제가 치료에 많이 사용된다. 수면 장애가 심한 경우는 ‘클로나제팜(Clonazepam)’ 같은 수면 유도제를 같이 쓰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