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우상 밝은마음병원 원장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엄마 심리 수업’ 저자
윤우상
밝은마음병원 원장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엄마 심리 수업’ 저자

한 엄마가 20대 후반의 아들을 데리고 상담하러 왔다. 거의 일 년째 아무것도 안 하고 자기 방에 틀어박혀 인터넷만 한다고 한다. 마트 갈 때 외에는 나가지 않고 친구들도 만나지 않는다. 취직할 생각은 아예 안 한다. 야단치고 설득해봐도 소용이 없어 결국 정신과에 데리고 온 것이다. 이 청년이 소위 말하는 ‘은둔형 외톨이’다.  

정신의학적으로 은둔형 외톨이라는 특정 진단은 없다. 대개 심리적으로 우울증이나 성격 장애가 동반된다는 정도다. 이런 친구들 중에는 경미한 우울증인 경우가 꽤 있다. 자기 처지가 별로이니 약간 무기력한 생활을 우울증인 줄 모르고 당연히 여기는 것이다. 의욕이 없으니 집에만 있게 되고,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끼고 살 게 된다. 이 생활이 몇 달 지속되면 자연스럽게 은둔형 생활이 된다.

은둔형 외톨이에는 성격적인 면도 크게 작용한다. 특히 회피성 성격이 많다. 회피성 성격은 대인관계에서 지나치게 소극적이며 쉽게 자존심이 상하며 자신을 매력 없고 열등한 사람으로 평가하는 게 특징이다. 이런 성격을 가진 사람이 타인과 만남에서 상처를 받게 되면 쉽게 집 안으로 숨어버린다.    

상담 온 청년에게서 우울증이나 성격의 문제는 없었다. 청년이 상담 중에 이런 말을 했다. “취직해봤자 쥐꼬리 월급에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그 연봉으로 결혼하기도 어렵잖아요. 결혼과 집을 포기하면 오히려 마음 편하게 살 수 있어요. 억지로 직장 다니지 않고 최소한의 돈으로 내 삶을 즐길 수 있다고 생각해요. 부모님은 걱정하지만 나는 괜찮아요.”


방에 틀어박혀 인터넷이나 게임에 빠진 ‘은둔형 외톨이’가 늘고 있다.
방에 틀어박혀 인터넷이나 게임에 빠진 ‘은둔형 외톨이’가 늘고 있다.

10년 전만 해도 은둔형 외톨이는 정신적인 문제로 봤다. 하지만 요새는 은둔형 외톨이를 병이 아니라 사회적 현상의 하나로 보는 경향이다. 대학 졸업하고 3~4년 취직 준비하다 실패하고 몇 년 빈둥거리다 보면 자연스럽게 취직 시장에서 도태된다.

친구들과 연락도 뜸해지고 딱히 할 것도 없으니 방에만 틀어박혀 인터넷이나 게임에 빠진다. 그러고 시간을 보내다 은둔형 생활을 자의 반 타의 반 하나의 삶의 방식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이들이 나이 들면 40대, 50대 은둔형 외톨이가 될 것이다. 그러다 보니 ‘7040 리스크’ ‘8050 리스크’라는 말도 나온다. 70~80대 부모가 40~50대 은둔형 외톨이 자녀를 부양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애써봤자 희망이 없는 사회고, 고립된 생활 속에서도 인터넷 등을 통해 또 다른 삶을 소비할 수 있는 세상이다. 이 둘의 합작품이 은둔형 외톨이를 양산하고 있다. 어떻게 빠져나올까? 돈으로 차별하는 뿌리 깊은 인식이 바뀌고 사회가 이들에게 비빌 언덕을 제공하고 또한 무기력한 청년들의 내면의 힘이 각성해야 할 것이다. 총체적인 변화가 필요하지만 쉽지 않다.

엄마 손에 이끌려온 이 청년을 밖으로 데리고 나올 방법이 없었다. 차라리 우울증이라도 있으면 치료라도 할 텐데… 그 친구에게 고작 해준 말이 이것이다. “너무 집 안에 있지 말고 친구들도 만나고 해라. 그래야 엄마가 조금 덜 걱정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