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셔터스톡
사진 셔터스톡
윤우상밝은마음병원 원장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엄마 심리 수업’ 저자
윤우상밝은마음병원 원장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엄마 심리 수업’ 저자

파란 하늘을 채우던 붉은 나뭇잎들도 떨어지고 이제 곧 스산한 가을만 남을 것이다. 가을을 심하게 타는 사람들이 있다. 가을이 되면 감성적으로 변하고 괜한 애잔함에 빠진다. 감성이 살아나고 삶을 돌아보는 건강한 가을 타기라면 나쁠 게 없지만, 더 심해져서 무기력과 슬픈 감정에 빠지면 문제가 된다. 의외로 가을 타는 사람 중에 숨어있는 우울증을 가진 사람이 꽤 있다. 이런 사람은 가을을 타는 게 아니라 가벼운 우울증이 반복해서 재발하는 것일 수 있다. 실제로 정신의학적인 진단에 ‘계절성 동반 우울증’이 명시돼 있다.

계절형 우울증은 한 해의 일정한 기간, 특히 가을이나 겨울에 나타나는 우울증을 말한다. 특별한 심리적 스트레스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가을이나 겨울에 반복적인 우울감이 생기고 대개 봄에 회복되는 특성을 보인다. 계절형 우울증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생체리듬과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졌다. 가을이 되면 해가 짧아지고 일조량이 줄면서 ‘멜라토닌’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의 분비가 감소한다. 멜라토닌은 수면과 같은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가을이 되면 일조량이 줄어들어 멜라토닌 분비가 감소하고, 생체리듬이 깨지면서 우울증이 발생한다는 이론이다.

일반 우울증과 계절형 우울증의 증상은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굳이 구분하자면 차이는 수면과 식욕에 있다. 일반 우울증은 불면과 식욕 저하가 주로 나타난다. 계절형 우울증은 오히려 과다수면이나 과식 증상을 보일 때가 많다. 또 일반 우울증에는 슬픈 정서가 많지만, 계절형 우울증은 우울한 정서보다는 무력감이 더 특징적이다. 만사 귀찮고 무기력한 상태가 2주 이상 지속되면 가을을 심하게 탄다고 생각할 게 아니라 우울증이 아닌지 살펴봐야 한다. 가을을 심하게 타는 사람은 우울증이 심각해지지 않게 빨리 빠져나오는 것이 좋다. 심한 가을 타기에서 빠져나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햇볕을 많이 쫴야 한다. 햇살 좋은 시간에 실외로 나가 햇살을 받아야 한다. 물론 춥다고 옷을 두껍게 입고 마스크까지 쓴다면 별 효과가 없다. 팔을 걷고 목의 단추도 두어 개 풀고 햇살을 맞이하자. 둘째, 집 안의 불을 가능한 한 환하게 밝혀야 한다. 우울한 정서 때문에 집 안의 불도 꺼놓거나 흐리게 켜놓는 경우가 많지만, 그래선 안 된다. 우울증 치료에는 빛을 세게 쬐 생체리듬을 활성화하는 광(光) 치료법이 있다. 전문적인 광 치료는 못 받더라도 집에서 불이라도 환하게 켜놓아야 한다. 셋째, 운동이나 취미 학원을 등록해서 일주일에 2~3회 이상 규칙적인 활동을 해야 한다. 무기력, 무의욕이 특징이라 움직이려 하지 않는데 그럴수록 무력감에서 빠져나오기 힘들다. 돈 아깝다는 생각에 억지로라도 활동하도록 자신을 강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영양제를 복용하지 않는 사람에겐 복합 영양제를 추천한다. 영양제가 무기력에서 벗어나는 데 도움을 주는 경우가 꽤 있다. 가을 내내, 겨울까지 이어지는 ‘가을 타기’는 경도의 우울증일 수 있으니 정신과 상담을 받을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