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KPMG CCS(Climate Change & Sustainability)본부는 조직 명칭에서 엿볼 수 있듯이 기후변화 및 지속가능경영 분야의 전문가 조직이다. 주로 기업들의 탄소규제 대응과 지속가능경영 전략 수립을 도와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후변화와 지속가능경영은 21세기 지구촌의 핫이슈다. 특히 기업들에게는 경영전략 및 경영활동의 큰 변화를 요구하는 명제이기도 하다. 20세기적 성장 패러다임과 이윤추구 활동에 젖어 있는 기업들은 당장 새로운 변화에 나서지 않으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할 수도 있다. 김성우 삼정KPMG CCS본부장(KPMG CCS 아시아태평양 대표 겸임)을 만나 기후변화와 지속가능경영 분야의 동향을 들어봤다.

“탄소배출 규제는 코앞의 현실…

    

 버티기보다 사업창출 기회 삼아야”

2011년 12월11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제17차 당사국 총회가 폐막했다. 이번 총회에서는 몇 가지 눈에 띄는 결실이 있었다. 우선 ‘교토의정서(온실가스 감축목표를 규정한 국제협약)’ 연장과 함께 2020년부터 주요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모든 당사국이 참여하는 새로운 온실가스 감축체제 설립에 합의한 이른바 ‘더반 플랫폼(Durban Platform)’을 채택한 점이 주목된다. 하지만 일본, 러시아, 캐나다가 올해 말 효력이 만료되는 교토의정서 제1차 의무감축 공약기간(2008~2012)의 연장에 불참하면서 의미가 반감됐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김성우 본부장의 말이다. “교토의정서가 연장됐지만 몇몇 주요 국가가 빠졌기 때문에 ‘절름발이 연장’인 셈이에요. 2020년부터 모든 당사국이 참여하는 새로운 기후변화규제 체제 가동에 합의한 점은 평가할 만합니다. 하지만 세부적인 협의 단계에서 진통을 겪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불안한 진전’으로 보입니다.”

그가 이번 더반 당사국 총회의 가장 큰 성과로 지목하는 것은 2009년 코펜하겐 총회에서 합의한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의 조속한 출범에 합의한 대목이다. 녹색기후기금은 간단하게 말해 선진국이 후진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지원하는 용도로 조성하는 자금이다. 2013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1000억달러 규모의 녹색기후기금이 후진국에 제공될 예정이다. 따라서 그간 세계적인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서 ‘구경꾼’에 머물렀던 후진국들의 움직임도 달라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셈이다.

기업들이 배출권 거래제 반대하는 까닭

우리나라도 온실가스 감축 및 규제를 위한 국제 공조에 발맞춰 나가고 있다. 정부는 2011년 대규모 사업장의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약 목표를 설정해 관리·검증하는 이른바 ‘온실가스·에너지목표관리제(이하 목표관리제)’를 도입했다. 정부가 기업별로 온실가스 배출 목표를 주고 사후에 얼마나 잘 지켰는지를 검증하는 제도다.

“정부는 목표관리제를 우선 시행한 뒤 2015년부터는 ‘배출권 거래제(온실가스 배출 권한을 기업들끼리 사고파는 제도)’로 전환한다는 일정을 잡고 있습니다. 배출권 거래제는 온실가스 감축을 장려하는 유연하고 탄력적인 제도죠. 하지만 기업들은 배출권 거래제에 대해서도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결국 비용이 발생할 거라는 판단 때문이죠. EU에서는 온실가스 배출 할당량을 매년 줄여 궁극적으로는 기업들이 전적인 책임을 지게끔 하는 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했습니다. 기업들은 우리나라 역시 그렇게 갈 것이라며 우려하는 겁니다.”

국내에서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5대 업종은 발전, 철강, 정유, 석유화학, 시멘트산업이다. 이들 5개 산업이 국내 산업계가 배출하는 전체 온실가스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국내 대표 기업들이 다수 포진한 전자, 자동차, 조선산업 등은 온실가스 배출 규제로부터 자유로울까? 결코 아니다. 전자, 자동차, 조선산업은 수출산업이다. 그런데 미국, EU, 일본 등 세계 주요 시장은 대부분 온실가스 규제 법령이 갈수록 엄격해지는 추세다. 결국 이들 지역에 제품을 수출하려면 높은 친환경 수준을 맞춰야 한다는 답이 나온다. 온실가스 배출 규제가 어느 특정 산업만의 현안이 아니라는 뜻이다.

“국내 주요 기업들은 기후변화 및 탄소규제 환경에 어느 정도 대응해나가고 있는 게 사실입니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단순히 규제에 대응하는 차원을 넘어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의 기회로 삼는 능동적, 전략적 접근이 미흡하지 않느냐 하는 점이죠. 지금은 ‘판’ 자체가 바뀌어가는 대전환기입니다. 특히 우리나라 주력산업인 전자, 자동차, 조선 등은 지금이 새로운 기회를 잡을 때입니다.”

21세기 들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전 세계 기업들의 핵심 경영현안으로 부상했다. 유엔은 이른바 ‘유엔글로벌콤팩트(UNGC·UN Global Compact)’를 내세워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을 주문하고 있기도 하다. 지난 2000년 유엔본부에서 창설된 유엔글로벌콤팩트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세계 최대의 자발적 협약이다. 특히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은 유엔글로벌콤팩트를 핵심의제로 삼아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 기업들도 수 년 전부터 사회적 책임 이슈를 진지하게 고민하기 시작했다. 일부 선도적인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 활동을 경영 전반에 반영하는 사례도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아직 제대로 착근하지 못했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다. 김성우 본부장의 말이다.

“우리나라 대기업들의 경우 사회적 책임 활동을 열심히 하고는 있습니다. 다만 ‘전술적’으로는 잘하는데 ‘전략적’으로 잘하는지는 의문이 듭니다. 다시 말해 사회적 책임에 관한 프로그램들은 다양하게 내놓고 있지만 기업 이익과 연계하는 큰 그림이 없는 것 같아요.”

사회적 책임은 경영전략과 연계해야

영국에 기반을 둔 비영리단체 ‘CDP(Carbon Disclosure Project)’는 전 세계 3000여개 기업의 탄소규제 관련 경영활동 정보를 수집해 550여개 글로벌 금융기관과 공유하고 있다. 해당 정보는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장기 전략이 있느냐, 얼마나 투자하느냐 등을 포함한다. 책임자의 지위가 얼마나 높은지도 조사한다. 한마디로 탄소규제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도와 실행력을 지수로 만들어 각 금융기관들이 투자나 대출을 할 때 의사결정의 중요한 잣대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CDP의 사례는 결국 기업들이 탄소규제에 얼마나 전략적 대응을 하느냐가 중요하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회적 책임 활동의 방향에 시사하는 바도 크죠. 사회적 책임을 실행하려면 회사의 미션과 비전, 핵심사업 등과 연계된 경영전략을 가지는 게 바람직하다는 뜻입니다. 그래야 ‘서스테이너블(Sustainable·지속가능)’하지 않겠습니까?”

김 본부장은 경영전략 분야의 권위자인 마이클 포터 하버드대 교수가 2011년 2월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기고한 글에서 제시한 ‘CSV(Created-Shared Value)’라는 용어를 언급했다. 마이클 포터 교수는 사회적 이익과 기업의 이윤 극대화는 별개의 이슈가 아니라는 취지에서 CSV라는 개념을 제시했다는 설명이다. 김 본부장의 말이다.

“기업의 지속가능경영과 사회적 책임은 서로 밀접하게 붙어 있는 이슈입니다.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거예요. 그 두 가지를 붙이는 ‘본드’ 역할을 하는 게 바로 직원, 고객, 주주, 지역사회와 같은 ‘이해관계자 그룹’입니다. 가령 어떤 기업이 지구온난화나 자원고갈 문제에 대해 나 몰라라 하는 식으로 사회적 책임을 회피한다면 그 기업은 지속가능할 수가 없습니다. 이해관계자들이 먼저 등을 돌릴 테니까 말입니다.”

- 김성우 본부장은 기후변화와 사회적 책임에 관한 기업들의 적극적 대응을 조언했다.
- 김성우 본부장은 기후변화와 사회적 책임에 관한 기업들의 적극적 대응을 조언했다.

 

  Tip. KPMG, 미국 뉴욕서 국제회의 개최

‘지속가능한 성장’ 주제…반기문 총장도 참석

KPMG 인터내셔널은 오는 2월 유엔환경계획(UNEP),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등과 손잡고 미국 뉴욕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에 관한 비즈니스 관점(Business Perspective on Sustainable Growth: Preparing for Rio+20)’이라는 주제로 국제회의를 주최한다. 이 회의는 UN환경개발회의(리우 정상회의) 20주년을 맞아 6월 초순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되는 ‘리우+20 정상회의’에 앞서 세계 각국의 정계 및 재계 리더들과 지속가능성의 핵심 이슈들을 공유하고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 세계에서 ‘C-레벨’ 이상의 고위인사 500명이 참석하며,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도 참석할 예정이어서 큰 주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Tip. 삼정KPMG CCS본부는…

지속가능경영 전략 수립 원스톱 서비스

삼정KPMG CCS본부는 크게 5가지 서비스를 고객 기업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첫 번째가 탄소규제 대응전략 수립이다. 탄소규제에 대해 가장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경영전략 수립을 도와주는 것이다. 주로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기업들이 고객이다. 사회적 책임을 포함한 지속가능경영 전략 수립과 지속가능성 보고서 작성 자문 및 검증 서비스도 제공한다. 최근에는 기업의 녹색경영 역량 강화를 돕는 서비스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녹색경영 체제 수립, 녹색제품 사업화 전략 수립 등 경영 전 과정에 녹색전략을 도입하려는 기업의 수요가 늘고 있다. 아울러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대한 투자 타당성 검토와 재무 자문 등 녹색투자 자문 서비스도 제공한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녹색성장 전략 수립 자문을 신성장동력으로 추진하고 있는 점도 눈길을 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