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사장
‘국민 생수’ 제주삼다수를 생산·판매하는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는 창립 이후 누적 당기순이익의 약 43%인 누적 금액 2560억원을 지역 사회에 환원했다. 공사는 제주 청정 자원으로 가치를 창출해 환경, 사회, 인재 육성, 복지 향상 등 도민 전체의 이익을 위한 다양한 공익사업 활동을 펼치고 있다.
도내 공기업에서는 처음으로 주민참여예산제를 시행하고, 사회공헌 사업 모델을 발굴하는 ‘제주삼다수 해피플러스(Happy+)’ 공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기존 주택을 매입해 취약 계층에 임대하는 매입임대주택 사업과 행복주택 사업을 펼치고, 가공용 감귤 수매를 통해 감귤 가격 안정과 농가를 보호하는 정책도 진행 중이다.
제주삼다수의 생산부터 재활용까지 전 과정에 걸쳐 환경에 미치는 영향력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경영을 통한 지속 가능한 미래 실현에도 힘쓰고 있다. 제품 경량화와 포장 재질 개선을 통해 자원 순환이 용이한 제품을 만든다. 제주 전역 16곳에 페트병 자동수거보상기도 운용 중이다.
김정학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사장은 “창립 25주년을 맞이한 공사는 ‘어려운 사람들의 기둥이 되는 제주개발공사형 사회공헌 사업’을 8대 중점 추진 전략에 포함했다”며 “공사의 업(業)과 연계된 사회공헌 사업을 추진해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해 기업 및 단체와 협업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했다.
ⓒ 조선경제아이 & economychosun.com
이번주 인기 기사
-
메디톡스와 대웅제약의 美 ‘보톡스 전쟁’ 일단락 승기 잡은 메디톡스, 국내 보톡스 시장 재편시킬까
-
IPO 대어 ‘SK바이오사이언스’가 온다 바이오 양 날개 펴는 SK… ‘따로 또 같이’ 전략 통했다
-
플랫폼 전쟁 2.0 시대 스마트폰·AI 등장으로 ‘플랫폼 전쟁’ 본격화 산업 경계 붕괴 속 기업들 독자 생존 vs 협업 갈림길
-
바이든, 반도체·희토류 ‘反中 동맹’ 만든다 트럼프 시대 미·중 무역전쟁 反中 경제전쟁으로 전환 시동
-
이필상의 아시아 기업 전성시대 2 글로벌 합작 브랜드가 만든 중국의 車 생태계, 인재·부품 산업 키웠다
-
오디오 기반 SNS 대표들이 말하는 클럽하우스의 미래 박지연 소셜라디오 대표 “목소리 친밀감 대체 불가…오디오 기반 링크드인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