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운 날씨에 흘리는 땀은 체온을 조절하고, 운동을 하면서 흘리는 땀은 노폐물을 배설하는 작용을 한다. 땀이 나야 할 상황에서는 적절하게 땀이 나야 하고, 땀이 나서는 안 되는 상황에서는 땀이 나지 않아야 한다. 땀과 건강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 본다.

 름철이 되면 기온이 올라가면서 땀을 많이 흘리는 반면 소변의 양은 줄어드는 것이 인체의 생리적인 현상이다. 반대로 겨울철이 되면 기온이 내려가면서 땀의 양은 줄어들고 소변의 양은 늘어난다. 이것은 계절에 따라서 자연계 기운의 승강이 변화하는데 인체의 기운도 자연계와 동일하게 움직이기 때문이다. 여름철에는 외부의 기온도 올라가고 인체의 기운도 올라가는 쪽으로 변화하게 된다. 그래서 땀이 많이 나고 소변의 양은 줄어드는 것이다.

 겨울철에는 그 반대가 된다. 외부의 기온은 내려가고 인체의 기운도 하강해서 땀은 적게 나고 소변의 양은 늘어난다. 계절의 변화 에 따라 인체의 기운의 승강도 변화하게 된다.

 사람이 나이가 드는 것도 계절의 변화와 유사하다. 식물이 봄에 싹을 틔워서 자라고 여름에 잎과 꽃을 피운 후에 가을에 열매를 맺고 겨울에 시들어 죽는 것이 사람의 생로병사의 과정과 유사하다. 그래서 젊은이의 경우는 여름철의 기운과 유사해서 땀이 많고 소변의 양은 적다. 하지만 늙은이가 되면 겨울철과 유사해서 땀은 적고 소변의 양은 늘어나게 된다.

 땀은 지나치게 많이 흘려도 병이 되고, 전혀 나지 않아도 병이 된다. 지나치게 땀을 많이 흘려서 병이 되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지나친 발한으로 인한 체액의 손실로 나타날 수 있는 질병이다. 여름철에 운동을 많이 하여 지나치게 땀을 많이 흘리거나, 직업적으로 땀을 많이 흘리는 일을 오랫동안 하는 경우, 또 잘못된 상식으로 인해 장기간에 걸쳐 지나치게 사우나를 하게 되면 체액이 다량으로 손실된다. 이렇게 되면 심한 갈증, 어지럼증, 무기력, 소변 양의 감소 등을 느낄 수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거나 심해지면 혈액순환에 장애가 생기고, 관절강을 채우고 있는 진액이 빠져나가 관절의 운동에도 장애가 생기게 된다. 한의학에서는 이런 상황을 ‘망양(亡陽)’이라고 한다. 땀으로 진액이 빠져나가 고갈되어 나타나는 증후를 말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계속되는 발한으로 모공이 항상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때 바깥의 찬바람을 맞게 되면 쉽게 감기에 걸리고 또 잘 낫지 않게 된다. 피부는 바깥의 찬 기운을 막는 역할을 하는데 땀을 흘리다 보면 모공이 열리고, 열린 모공으로 찬 기운을 맞게 되면 바로 감기에 걸리게 된다. 여름철에 더위 때문에 땀을 흘리다가 에어컨 바람을 강하게 쐬면 여름 감기에 걸리는 경우가 바로 이런 경우다. 이것은 열린 땀구멍으로 찬 기운이 침범하였기 때문이다.

 반대로 땀이 나지 않아서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다. 감기에 걸렸을 때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땀을 살짝 내면 금방 감기기운이 사라진다. 그런데 땀을 내지 않고 몸을 더욱 차갑게 하면 피부가 얼어서 순환이 되지 않고 내부에서는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열이 풀리지 않고 발열이 지속되면 코피가 나는 경우가 있다. 아이들이 감기로 인한 발열로 여러 날 고생하다가 갑자기 코피를 확 쏟게 되면 이는 감기가 풀리는 징조이므로 오히려 다행스러워 해야 한다. 물론 평소에 코피를 자주 흘리지 않는 아이의 경우다.

 또 스트레스를 지나치게 많이 받는 경우에도 땀이 잘 나지 않을 수 있다. 평소에 땀이 나야 할 상황에서 땀이 잘 나던 사람이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여러 가지 불편한 증상들이 동반되면서 땀이 잘 나지 않게 된다. 이는 스트레스로 인한 순환장애를 일으킨 것이다. 이럴 때는 운동이나 목욕을 강하게 해서 땀이 나도록 해야 한다.

 땀이 잘 나는 부위를 통해 질병의 원인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먼저 식사할 때 유독 머리부위에서 땀을 비 오듯 흘리는 사람들이 있다. 평상시에는 땀이 많이 나지 않다가 밥만 먹으면 얼굴에서 땀을 줄줄 흘린다. 특히 맵고 뜨거운 음식을 먹을 경우에 더 심하다. 이런 사람들은 위(胃)에 열이 많은 사람들이다. 음식을 먹으면 위가 이를 받아들여서 움직이고 반죽하면서 소화를 시키게 된다. 즉, 공복에는 위가 정지하고 있다가 식사를 하면 위가 운동을 한다는 얘기다. 그런데 원래 위에 열이 많은 사람들은 식사를 하게 되면 위가 움직이면서 이런 위의 열을 더욱 조장하게 된다. 그래서 맵고 뜨거운 음식을 먹으면 비 오듯 땀을 흘리게 된다. 이런 사람들은 대부분 식성이 좋고 얼굴색이 밝은 경향을 띤다.

 어떤 사람들은 손·발바닥에서 유독 땀을 많이 흘린다. 이런 사람들은 심리적인 요인에서 그 원인을 찾아야 한다. 다른 사람들보다 유독 예민하고 긴장을 잘하는 사람들에게서 이런 현상을 많이 발견할 수 있다. 긴장을 유발하는 상황이 되면 마음 속에서 동요가 일어나고 이런 마음의 동요가 화(火)를 조장해 손·발바닥에 땀이 나는 것이다.

 또 어떤 사람들은 하체 쪽에서만 유독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가 있다. 한의학에서 인체의 상부는 양기가 지배하는 부위이고 인체의 하부는 음기가 지배하는 부위다. 그런데 하체에서만 유독 땀을 흘리는 것은 음기가 손상되었기 때문인데 음기가 손상되는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지나친 부부생활을 들 수가 있다. 젊었을 적에 욕정을 자제하지 못하고 몸에 무리가 갈 정도로 지나치게 성생활을 하게 되면 노년에 이런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 몸이 전반적으로 찬 사람들에게서 머리 쪽에서만 땀을 흘리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몸이 찬 사람들의 특징은 땀이 잘 나지 않고 나와도 다른 사람들보다 느리게 난다는 것이다. 땀을 빼러 사우나에 가도 다른 사람들보다 한참을 더 기다려야 땀이 겨우 난다. 이런 사람들은 더워도 온 몸에서 땀이 나는 것이 아니라 머리 쪽에서만 땀이 난다. 즉, 몸이 차다 보니 전신에 공급되어야 할 양기가 부족하여 머리 쪽으로만 공급이 되는 것이다. 이런 사람들은 아래쪽은 몸이 차서 무릎관절 쪽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

 땀을 흘리는 양상에도 차이가 있다. 땀이 나야 할 때 나고 또 땀이 나야 할 상황이 종료가 되면 땀이 그쳐야 한다. 그런데 흐르기 시작한 땀이 그치질 않고 비 오듯 줄줄 흐른다면 이는 문제가 되는 상황이다. 이것은 위에서 설명한 망양의 경우에 볼 수 있는 땀의 형태다. 빨리 땀을 그치게 하여서 몸의 진액이 고갈되는 상황에 이르지 않게 해야 한다.

 또 다른 형태의 땀이 구슬모양 같은 땀인데 땀이 흘러내리지 않고 피부에 그대로 맺혀 있는 경우이다. 보통의 땀은 피부에서 나오고 나면 주르륵 흘러내리는데 만약 인체의 깊은 부위에 있는 끈적끈적한 체액이 표피부위까지 끌려올라와 땀의 형태로 배출이 되면 점도가 높다 보니 흘러내리지 않고 피부에 구슬처럼 동글동글 맺히게 된다. 이런 경우는 예후가 매우 좋지 않다.



 다한(多汗)엔 황기,

 무한(無汗)엔 생강과 귤껍질

 

 땀을 지나치게 많이 흘리는 경우라면 황기가 좋다. 황기는 지나친 발한(發汗)으로 모공이 열려 있을 때 이를 닫는 작용을 한다. 여름철에 땀을 많이 흘렸을 때 보양식으로 삼계탕을 먹으면서 황기를 함께 넣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황기는 대형 슈퍼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황기를 꿀물에 축여서 살짝 볶고 적당량의 물에 끓여 차처럼 복용해도 좋다.

 땀이 나지 않아서 땀을 흘리고자 한다면 생강이나 덜 익은 귤껍질이 좋다. 생강은 적당량을 물에 끓여서 차를 만들어 복용하면 된다. 덜 익은 귤껍질 역시 적당량을 물에 달여 차처럼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몸이 찬 사람이라면 생강차를 마시는 것이 좋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사람이라면 귤껍질차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

 땀은 억지로 내려고 하는 것보다 자연스럽게 나게 하는 것이 가장 좋다. 따라서 사우나에서 오랜 시간 앉아 있으면서 나지도 않는 땀을 억지로 빼는 것보다 자연스럽게 운동을 하면서 흘리는 것이 건강에 훨씬 유익하다. 운동을 하면서 흘리는 땀에는 인체에서 필요로 하는 영양소보다 배출해야 할 노폐물이 훨씬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만약 운동을 하기 힘들거나 시간이 없다면 반신욕이나 족욕으로 자연스럽게 발한을 유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