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집 ‘팝 댄스의 아버지 (The Father of Pop Dance)’표지. 사진 김진영
사진집 ‘팝 댄스의 아버지 (The Father of Pop Dance)’표지. 사진 김진영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이 있기 전, 그보다 더 거슬러 올라가 싸이월드가 있기 전 우리에게는 사진 앨범이 있었다. 집집마다 보관하는 사진 앨범에는 사적인 기록이 담겨 있다.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볼 수 있다는 가정하에 사진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나에게 혹은 가족에게 소중한 이야기를 담아 앨범을 만들었다.

사진 앨범은 온라인에서처럼 검색할 수도, 태그를 사용할 수도 없다. 미리 제본된 빈 앨범 속에 첫 장부터 순서대로 사진을 하나하나 붙이고 메모를 적는다. 사진 앨범을 만드는 사람은 각자 나름의 이유로 일종의 편집을 거쳐 앨범을 완성한다. 

어느 해 뉴욕 아트 북 페어를 둘러보다 ‘팝 댄스의 아버지(The Father of Pop Dance)’라는 책을 발견했다. 팝 댄스의 아버지라니. 이름난 댄서의 이야기가 담긴 책인지 궁금해 책장을 넘기는데, 부스를 지키고 있던 작가가 말을 걸었다. “이 사람은 제 아버지예요.”

나에게 말을 건넨 이는 책을 만든 작가인 티안 돈 나 참파삭(Tiane Doan Na Champassak)이었다. 그 자리에서 그는 내게 아버지와 책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줬다. 작가의 아버지는 전문적인 댄서는 아니지만 춤을 너무나 사랑했다. 1967년 어느 날 펑키한 여러 의상을 들고 로스앤젤레스(LA)의 한 상업 스튜디오를 찾은 아버지는 춤을 추고 있는 자기 모습을 사진에 담았다고 했다. 그리고 이를 사진 앨범으로 만들었다. 

아버지가 작고하고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작가는 다락방에서 이 사진들이 담긴 앨범을 발견했다. 오랜 세월 속에 습기로 인해 페이지끼리 붙어 버린 낡은 앨범이었다. 붙어버린 페이지를 뜯어냈더니 아들은 젊은 시절 춤을 좋아하던 아버지의 생생한 모습을 마주할 수 있었다. 

작가는 아버지가 남긴 사진 앨범 느낌이 고스란히 담긴 책을 만들고 싶었다. 그래서 앨범 속 사진 그대로, 사진이 실린 순서 그대로, 그리고 스프링 제본이 사용된 앨범의 형태를 살려 아버지의 사진 앨범을 복제한 듯 닮은 사진 책을 만들고자 했다. 


사진집 ‘팝 댄스의 아버지(The Father of Pop Dance)’ 속 내지. 군데군데 하얀 자국은 습기에 노출된 사진들이 서로 붙었다 떼어지면서 남겨진 것이다. 사진 김진영
사진집 ‘팝 댄스의 아버지(The Father of Pop Dance)’ 속 내지. 군데군데 하얀 자국은 습기에 노출된 사진들이 서로 붙었다 떼어지면서 남겨진 것이다. 사진 김진영

아버지는 총 네 종류의 옷을 입고, 같은 옷을 입은 사진끼리 연달아 앨범에 넣었다. 그 순서를 살려서 만든 이 책은 빠른 속도로 책장을 넘기면 플립 북(flip book)처럼 춤이 연속적으로 보이는 듯한 인상을 준다. 어떤 사진들은 이중노출(두 개의 장면이 한 장의 사진 속에 겹치도록 동일한 필름을 두 번 촬영하는 방법)을 통해 만들어져, 춤을 추는 모습이 보다 역동적으로 표현됐다. 어두운 배경을 골라 촬영한 덕분에 화려한 색감 및 패턴을 지닌 의상과 춤추는 동작들이 두드러지게 표현됐다. 참파삭의 아버지가 어떤 음악에 맞춰 춤을 췄는지 우리는 알 수 없다. 다만 몸짓을 통해 상상해볼 수 있을 뿐이다. 

책에 담긴 이 같은 사진은 ‘순수예술사진(fine-art photography)’과는 다른 장르의 사진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티안의 아버지가 개인적인 목적, 즉 사적인 기록을 남기기 위해 무명의 지역 사진가에게 의뢰해 만든 사진이기 때문이다. 비예술적 목적을 위해 생산된 사진을 버내큘러 포토그래피(Vernacular Photography)라 부른다. 뉴욕현대미술관(MoMA)의 정의에 따르면, 버내큘러 포토그래피는 ‘상업적 목적, 과학적 목적, 법의학적 목적, 국가의 목적, 개인의 목적을 포함하여 매우 방대한 목적을 위해 비예술가에 의해 만들어진 사진들로, 순수예술사진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포괄적 용어’다. 사실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사진은 이렇게 비예술적 목적을 위해 무명의 사진가에 의해 만들어진다.

그리하여 이 책에는 작가의 예술사진이 담긴 작품집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한 가지 중요한 요소가 등장한다. 그것은 습기로 인해 사진끼리 붙어 있다 떼어지면서 사진에 남겨진 수많은 하얀 자국들이다. 통상 사진작가들은 자신의 사진이 습기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사진을 인화한 후 보관에 각별히 신경 씀으로써 사진이 망쳐지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다. 그런데 이 책에 담긴 사진들은 오랜 세월 속에 무방비로 습기에 노출된 나머지 사진이 서로 붙었다 떼어지면서 남겨진 자국이 거의 모든 페이지에 등장한다. 

티안은 이 남겨진 자국까지 그대로 살려 책을 만들었다. 이 하얀 자국들이 사진을 망쳤다고 볼 수 있을까? 사진 관리를 제대로 못 해 벌어진 아쉬운 사건이라고 할 수 있을까? 내 눈에 이 자국들은 사진을 지저분하게 만들거나 사진이 훼손됐다는 느낌을 주기보다, 오히려 아버지의 춤을, 그리고 이 사진들의 존재를 축하하며 뿌려지는 하얀 종이들 같아 보인다. 

본래 사진에는 없었지만, 보관 조건과 시간이 사진에 추가적인 시각적 층위를 만들어냈고, 어쩌면 시간이 만들어낸 일종의 실수이지만 그것이 관객에게 부정적인 방식이 아니라 긍정적인 방식으로 독특한 영감과 아름다움을 전하고 있는 셈이다. 비록 LA 스튜디오에 있던 무명의 사진가가 의도하지 않은 것이라 할지라도, 시간이 빚어낸 특별한 종류의 아름다움 말이다. 

이 아름다움이 특별하게 다가오는 까닭은, 완벽한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너무나 쉬워진 오늘날 좀처럼 찾아볼 수 없는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향상된 사진 기술과 보정 기술은 사진에 존재하는 흠을 손쉽게 수정하여, 시각적으로 완벽하고 매끄러운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현실은 좀처럼 매끄럽지 않은데도 말이다. 

만약 티안이 이 자국들을 없애야겠다고 생각해, 아날로그 사진을 디지털로 스캔한 후 모든 하얀 자국을 보정 기술을 이용해 말끔하게 메웠다고 상상해보자. 오랜 시간이 느껴지는 사진이 아니라 깨끗하고 매끈하게 방부 처리된 사진이었다면, 이 책은 지금 같은 매력을 잃었을 것이다. 나를 사로잡은 건 이미지의 완전함이 아니라 바로 이 불완전함이었다. 

오래된 사진 앨범의 물질성을 고스란히 살려 만든 이 책 속에는 이렇게 1960년대부터 현재로 이어진 시간이 담겨 있다. 매끈하고 완벽한 이미지의 미학이 아니라, 시간이 만들어낸 불완전함, 우연성, 비의도성의 미학을 엿볼 수 있는 책이다.


▒ 김진영
사진책방 ‘이라선’ 대표,서울대 미학과 박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