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카모토 류이치(왼쪽), 가수 유희열. 사진 셔터스톡, 뉴스1
사카모토 류이치(왼쪽), 가수 유희열. 사진 셔터스톡, 뉴스1

7월 5일 MBC ‘100분 토론’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유희열의 표절 논란을 다뤘다. 과거 가요계의 표절 논란이 불거질 경우, 시사 프로그램에서 해당 가수보다는 가요계 전반에 걸친 문제를 다루곤 했다. 이런 대형 프로그램이 특정 뮤지션을 콕 집어 방송의 주제로 삼은 경우는 없었다. ‘유희열’과 ‘표절’이라는 두 단어의 조합에 그만큼 많은 이가 충격과 실망에 빠졌다는 방증이리라. 나는 문제가 된 유희열의 ‘아주 사적인 밤’이 사카모토 류이치의 ‘아쿠아’를 표절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생각이 없다. 저작권 침해는 민사의 영역이다. 최종 판단은 법정에서 이뤄진다. 하지만 사카모토 측은 ‘아주 사적인 밤’에 대해 “유사성을 확인했지만, 표절은 아니다”라며 법정 공방으로 끌고 갈 생각이 없음을 밝혔다. 따라서 이미 끓어오르는 여론에 기름 한 방울 더하고 싶지는 않다. 그렇다고 유희열을 옹호할 생각 또한 없다. 

음악 평론가로서 20년 넘게 활동하면서 꽤 많은 표절 이슈에 대해 이야기하곤 했다. 팬들의 비난을 무릅쓰고 총대를 맨 적도 있고, 법정으로 가는 경우 원고 측 입장에서 의견서를 제출한 경험도 적지 않다. 한 유명 기획사의 대표 프로듀서로부터 곧 나올 신곡을 먼저 들어보고, 혹시 이 노래가 다른 음악과 유사한 점이 있는지를 알려달라는 요청을 받은 적도 있다. 이런 경험을 통해 해외 사례들도 숙지할 수 있었고, 민법에 있어서는 피해 당사자가 피해 사실을 부인하면 끝이라는, 지극히 당연한 사실도 깨닫게 됐다. 특히 2010년대 이후, 국내와 해외 음악 산업의 비즈니스적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더욱 그랬다. 과거 지드래곤이 ‘하트 브레이커’를 발표했을 때, 플로 라이다의 ‘Right Round’란 곡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강력하게 제기됐다. 이 논란은 허무하게 종결됐다. 플로 라이다가 영상을 통해 의혹을 부인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그는 ‘하트 브레이커’를 지드래곤과 듀엣으로 소화하기도 했다. 누군가에게는 허무한 결말이었을 것이다. 이후로도 그런 사례는 꽤 있었다. 

반면 논란이 화끈하게 펼쳐졌을 때도 있었다. 2013년 프라이머리의 ‘I Got C’를 둘러싼 논란이 대표적이다. 원작자가 직접 등판, ‘I Got C’가 자신들의 노래 세 곡을 바탕으로 만든 노래라고 주장했으니 말이다. 그 결과 프라이머리는 법정까지는 가지는 않았어도 저작권 일부를 양도하며 사실상 꼬리를 내렸다. 이처럼 대중이 원하는 속 시원한 ‘사이다 엔딩’은 극히 드물다. 대신 과거 논란이 됐던 노래들의 저작권자 표시에 원작자라고 일컬어진 저작자의 이름이 어느샌가 함께 올라가는 일이 많다는 말을 전한다. 다른 민사와 마찬가지로 당사자 간 합의가 최우선이란 얘기다. 저작권 비즈니스의 세계랄까. 

법을 떠난다면 도덕적 문제가 남는다. 그러나 쉽게 도덕의 칼을 휘두르는 것도 조금은 망설여진다. 일전에 한 뮤지션과 표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꽤 유명한 히트곡을 만든 장본인이다. 그는 팬들에게 제보성 메일을 종종 받는다고 했다. 어떤 노래가 그의 히트곡을 표절한 것 같다는 제보다. 본인이 아는 노래도 있고, 모르는 노래도 있지만 대부분은 표절과는 거리가 멀다고 했다. 유사하게 느껴지는 노래조차 자신의 노래를 모티브로 삼았을 가능성이 있는 정도라고 했다. 그 이야기를 하며, 그는 나에게 표절 여부에 대해서는 누구도 확신하기 힘든 게 사실이라고 털어놓았다. 제보받은 노래들을 들어봤지만, 나도 그와 같은 생각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주 사적인 밤’에 대해서는 좀 더 단호하게 ‘아쿠아’와 유사성을 확신할 수 있다. 굳이 악보를 펼쳐놓고 분석하지 않아도 좋다. 법정에서 표절을 판단하는 근거는 악보에 그려진 음표뿐만이 아니다. 청자가 느끼는 ‘실질적 유사성’도 근거가 된다. 해외 사례가 그렇다. 따라서 만약 유희열이 ‘아쿠아’와 유사점을 알고도 ‘아주 사적인 밤’을 내놨다면 도덕적 해이다. 그의 말대로 창작 당시 미처 몰랐다 해도 책임을 피하기는 힘들다. 크레디트에 자신의 이름을 새겨 놓은 이의 직무 유기니까, 진퇴양난이다. 

유희열은 이른바 ‘고뇌의 창작자’는 아니다. 부활의 김태원처럼 동굴에 몇 달씩 틀어박혀 곡을 쓴다든가 하는 일화와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그는 ‘편견 없는 수용자’에 가깝다. 그는 오랫동안 음악 방송을 진행하며 다양한 음악을 기꺼이 대중에게 소개했다. 열린 마음으로 음악을 듣고, 또한 자신의 음악에 녹여내곤 했다. 보사노바부터 시부야케이, 일렉트로니카 같은 여러 장르를, ‘토이표 멜로디와 감성’으로 재창조한 게 그의 음악 세계다. 이런 과정에서 그가 보여준 가장 큰 미덕은 앨범 속지나 방송을 통해서 자신의 작업에 영향을 끼친, 혹은 모티브로 삼은 음악을 기꺼이 공개한다는 점이다. 출처를 명확히 하고 이를 재해석해서 자신의 세계로 품는 타입의 뮤지션이다. 

영국 밴드 오아시스의 4집 제목은 ‘Stand-ing on the Shoulder of Giants’다. 2파운드 동전에 새겨진 아이작 뉴턴의 명언 “내가 멀리 볼 수 있었던 것은 거인의 어깨 위에 있었기 때문이다”에서 따왔다. 자신의 업적은 플라톤부터 갈릴레오에 이르는 과학자들의 성과 위에서 이뤄졌다는 얘기다. 오아시스 또한 데뷔 때부터 비틀스, 더 후, 티렉스 같은 영국 록의 전통을 노골적으로 흡수하여 독창적 음악으로 록의 역사를 바꾼 밴드다. 그들의 공연을 대표하는 ‘Don’t Look Back in Anger’는 존 레넌의 ‘Imagine’과 똑같은 피아노 인트로로 시작하지만, 아무도 이 노래를 표절이라 하지 않는다. 이 위대한 인트로에서 시작해서 또 하나의 위대한 노래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문학도, 심지어 논문도 마찬가지다. 훌륭한 논문일수록 여러 앞선 논문을 인용하고 이를 해석해 마침내 자신의 주장을 정립하는 구조를 갖는다. 예술에서 이런 인용을 뜻하는 용어가 바로 오마주다. 

오마주의 음악가였던 유희열이 토이란 이름으로 낸 마지막 앨범은 2014년 ‘Da Capo’였다. ‘아주 사적인 밤’이 발표된 지난해까지의 7년 동안, 유희열은 그 시간을 음악을 떠나 TV 예능과 엔터테인먼트 사업으로 채웠다. 그 결과 그는 음악과 라디오에 머물렀던 때보다 강력한 대중적 영향력과 사업적 성과를 얻었다. 음악을 떠나 있는 동안 정작 자신의 미덕을 잊은 걸까. 실로 오랜만의 컴백은 찬사 대신 그에게 도덕적 해이와 직무 유기 사이의 기로를 안겼다. 인용을 밝히지 않았고, 오마주라고 하기엔 너무나 노골적인 인용만 드러났다. 그 결과 음악 외적 성공을 가능하게 했던 가장 소중한 자산을 잃을 위기에 있다. 그가 새로이 앉은 곳이 어떤 거인의 어깨인지를 망각한 결과다. 그는 멀리 보는 대신, 눈을 감았다.


▒ 김작가
대중음악평론가, 일일공일팔 컨텐츠본부장, 한국 대중음악상 선정위원, MBC ‘나는가수다’, EBS ‘스페이스 공감’기획 및 자문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