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라리 모델은 클래식카 재테크에서 가장 인기가 많다. 사진 페라리
페라리 모델은 클래식카 재테크에서 가장 인기가 많다. 사진 페라리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재테크 방법이 등장하고 있다. 그림이나 예술품 거래는 이미 오래됐고 일반인이 생각지도 못한 물건의 거래도 상당히 빈번하다. 국내에서는 재테크 하면 부동산이나 주식 정도가 대중적이지만 미국이나 일본, 유럽에서는 자동차도 재테크 대상이다. 하지만 아직 국내에서 자동차를 이용한 재테크가 생각보다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다. 

558억원, 450억원, 432억원. 일반인은 좀처럼 체감하기 어려운 액수다. 이 액수는 최근 국제적인 클래식카 경매에 출품했던 자동차들의 낙찰 가격이다. 자동차를 몇십억원 혹은 몇백억원씩 주고 구입하는 행위 자체에 대해서 ‘지나친 낭비’라고 치부하기도 하지만, 재산으로 본다면 상당히 괜찮은 투자다. 영국의 한 리서치 업체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클래식카의 투자 가치는 위스키, 주화에 이어 3위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편이다. 여기에 위스키나 주화, 귀금속보다 관리가 까다롭고 유지 보수에 전문 인력이 필요한 만큼 배후 가치에 대한 부분까지 생각하면, 그 금액은 그야말로 일반인이 상상하는 것 이상이다. 투자 가치가 높은 다른 물건도 마찬가지겠지만 몇백억원짜리 수집품을 가지고 있을 정도면 소유자의 자산 규모는 물품 가격의 최소 50배에서 100배에 이른다.

유명 패션 브랜드인 폴로의 창업자인 랠프 로런, 핑크 플로이드의 드러머 닉 메이슨, 유명 토크쇼의 사회자 제이 레노 등의 공통점은 지독한 클래식카 애호가라는 점이다. 각 분야에서 성공을 인정받은 이들이 자동차 마니아 사이에서는 그야말로 ‘끝판왕’이라고 불린다. 이들뿐 아니다. ‘미스터 빈’으로 유명한 영국의 코미디언 로언 앳킨스, 삼성전자 회장인 이건희, 영화배우 니콜라스 케이지 등도 클래식카 시장에서 큰손으로 통한다. 물론 이 정도의 재력을 가진 사람들이 클래식카를 이용해 재테크한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는 일은 아니다. 그러나 이들이 소유한 클래식카를 노리는 사람은 생각보다 많고 그 목적에 ‘투자’ 혹은 ‘재테크’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세계적으로 고가의 클래식카 경매로 유명한 곳은 유럽과 캐나다의 RM소더비와 영국의 본햄스·아트큐리얼, 일본의 BH옥션이 대표적이다. 이 중 BH옥션을 제외한 나머지 경매 회사에 자동차가 추가된 시점은 비교적 최근이다. 그동안 미술품과 보석 등 고가의 물품을 다루던 경매 회사들이 자동차에 주목하면서 클래식카 시장의 규모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그렇다고 부호들을 위한 경매만 있는 것은 아니다. 미국의 배럿 잭슨이나 지역별로 열리는 클래식카 옥션은 일반인도 참여할 수 있을 정도로 대중적이다.


MG의 경량 로드스터는 가격대나 개체 수 측면에서 일반인의 접근이 쉬운 편이다. 사진 황욱익
MG의 경량 로드스터는 가격대나 개체 수 측면에서 일반인의 접근이 쉬운 편이다. 사진 황욱익
450억원 이상의 가치를 지닌 부가티 57SC 아틀란틱 쿠페. 현재 3대가 남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진 황욱익
450억원 이상의 가치를 지닌 부가티 57SC 아틀란틱 쿠페. 현재 3대가 남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진 황욱익
폴크스바겐 공랭식 엔진을 탑재한 카르만 기아도 대중적으로 인기가 많다. 사진 황욱익
폴크스바겐 공랭식 엔진을 탑재한 카르만 기아도 대중적으로 인기가 많다. 사진 황욱익

출고 당시 모습 간직한 차가 값어치 높아

재테크로 클래식카를 선택하면 무엇보다 준비할 사항이 많다. 앞에서 설명했듯이 자동차라는 물건 자체가 유지 보수와 보관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단순히 움직이고 겉모습만 갖춰졌다고 재테크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출고된 당시의 모습을 얼마나 간직하고 있느냐가 값어치를 책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랠프 로런의 부가티나 닉 메이슨의 페라리 250 GTO가 몇백억원의 가치를 갖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또한 역사적으로 의미 있거나 모터스포츠에서 활약상이 두드러지는 모델도 그 가치를 높게 인정받는다. 차를 소유했던 사람들(주로 유명인)의 스토리도 중요하고, 역사적으로 가치 있다고 판단하면 같은 모델이라도 값어치는 천차만별이 된다. 비교적 대중적인 모델이라고 해도 유명 인물이 소유했던 차가 가치를 높게 인정받는다.

해외에는 클래식카 전문 감정사가 자동차 가치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근거를 제시한다. 이들은 차체 시리얼 번호부터 오리지널 부품의 부품 번호, 제조사, 출고 당시 사양, 소유 이력, 복원과 사고 이력 등을 꼼꼼하게 조사해 값어치를 책정한다. 대규모 경매의 경우 차 한 대당 몇십억원 혹은 몇백억원을 호가하기 때문에 이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이들의 지식수준은 상당히 높다. 중고차 딜러와는 다른 영역으로 아직 국내에서는 생소하지만, 클래식카 시장이 커지면 주목받을 수 있는 직업군이기도 하다.

아직 국내에 재테크를 포함한 전문적인 클래식카 경매는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일부 자동차 마니아들 사이에서는 이른바 ‘돈 되는 차’의 시세가 조금씩 형성되고 있다. 가장 좋은 예가 마지막 공랭식 엔진을 탑재한 포르셰 911(993)인데 일부 모델은 1990년대 출시 가격 이상으로(1억원 이상) 거래된다. 비교적 개체 수가 많은 올드 BMW 모델도 국내에서는 인기가 높은 편이다. 1980년대 출시된 3시리즈(E30) 역시, 수요를 공급이 따라가지 못해 가격은 계속 오르고 있다. 포르셰 911(993)과 BMW 3시리즈(E30)의 공통점은 중고 거래가가 바닥을 친 후 몇 년 동안 계속 상승해 시세가 안정됐다는 점이다.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차들에 비해 대우가 후한 이유다. 

그러나 국내 클래식카뿐 아니라 자동차 재테크 시장은 제대로 된 체계가 없어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단순히 오래되고 상태를 알 수 없는 차들이 클래식카라는 이름으로 중고차 사이트에 올라오거나 개조차, 정체불명의 부품으로 점철된 차들을 쉽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클래식카가 아니더라도 오래된 차를 관리하고 유지하는 것은 한국 실정상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지금 타고 있는 차가 몇 년 후에는 지금보다 훨씬 더 나은 대우를 받을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