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하는 독일 장인정신의 상징
BMW는 초기에 항공기 엔진을 제작하는 회사로 시작한다. 제1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16년 뮌헨의 바바리아 모터주식회사(Bayerische Motoren Werke AG)라는 항공기 엔진 공장이 모태다. BMW 로고의 기본 형태는 비행기의 프로펠러 모양으로부터 형상화했다. 여기에 BMW 본사가 자리 잡고 있는 바바리아주의 푸른 하늘을 상징하는 청색과 알프스의 흰 눈을 상징하는 백색이 도입돼 청백색으로 회전하는 프로펠러 형상의 로고가 완성됐다.
당시 BMW가 만든 항공기 엔진은 그 우수성을 인정받아 독일 공군기에 장착됐으나 독일이 전쟁에서 패하자 항공기 제조가 금지됨에 따라 BMW는 시련에 부딪치게 된다. 이후 모터사이클에 손을 댔고, 때마침 유럽에서 일어난 모터사이클 붐으로 인해 BMW 모터사이클은 큰 인기를 누렸다.
BMW는 1928년부터 본격적인 자동차 생산에 나섰다. 영국의 오스틴 세븐을 라이선스로 만들던 딕시사를 인수해 처음으로 만든 차가 1931년 일(Ihle) 형제가 디자인한 BMW 320. 이어 1936년에는 6기통 2.0리터 80마력 엔진을 얹은 로드스터 328을 내놓았다.
이렇게 시작한 BMW는 1966년 BMW 1600의 2세대 모델인 1600-2를 비롯한 02시리즈를 히트시키면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 후 BMW는 전 차종에 걸쳐 세단의 중후함과 스포티한 느낌을 함께 느낄 수 있는 디자인, 안락한 승차감과 안정성, 신뢰감을 주는 엔진 성능 등으로 운전의 즐거움을 마음껏 느낄 수 있는 명차로 손꼽히고 있다.
3·5·7·X·M 등으로 모델 분류
BMW의 모델명은 크게 3, 5, 7로 나뉜다. (1시리즈는 국내 미 시판) 3은 콤팩트 세단을, 7은 대형 럭셔리 세단, 그리고 5는 그 중간급을 나타낸다. 그 뒤의 두 자리 숫자는 배기량을, 맨 뒤의 영문 스펠링은 엔진 형식과 차량 종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BMW 330i는 3000cc 가솔린 엔진(i는 가솔린 엔진을 뜻한다)을 장착한 콤팩트 세단을 나타내며, 530d는 3000cc 디젤 엔진(d는 ‘Diesel’의 약자)을 장착한 BMW의 중간급 세단을 의미한다.
750Li는 5000cc 가솔린 엔진을 장착한 대형 럭셔리 세단으로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의 거리를 일반 모델보다 더 멀게 해 뒷자리를 넓힌 롱 휠베이스(Long wheelbase) 모델이다. 따라서 L자가 붙은 모델은 모두 롱 휠베이스 모델이다.
330Ci는 3000cc 가솔린 엔진을 장착한 콤팩트 2도어 쿠페(Coupe)를 나타낸다. X는 BMW에서 나오는 4륜구동 모델을 의미하며, 국내 시판중인 X 패밀리 모델에는 X5 3.0i(3리터 가솔린 엔진), X5 4.4i(4.4리터 가솔린 엔진), X3 2.5i(2.5리터 가솔린엔진), X3 3.0i(3리터 가솔린 엔진), X3 3.0d(디젤 엔진) 등이 있다.
M은 BMW의 가운데 문자를 나타내는 동시에 모든 BMW 스포츠카의 심장인 고성능 엔진을 상징한다. M은 모터스포츠 차량 및 인디비주얼 옵션만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BMW의 별도 자회사인 BMW M GmbH가 생산하는 모터스포츠 차량을 의미한다.
BMW M GmbH에서는 일명 ‘디자인 모델’이라고 불리는 극소수 생산 차량을 통해 자동차 인테리어와 차체에 가장 어울리는 컬러 배합을 선보이고 있다. 차 군데군데가 명장 특유의 꼼꼼한 손길로 마무리된 M5는 운전자 개개인의 개성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BMW 맞춤형 자동차인 인디비주얼카의 연장선상에 서있다.
BMW M GmbH는 지난 1993년 BMW 모터스포츠에서 분사해, BMW M카(M3, M5, M 크페, M 컨버터블 등), 인디비주얼, 드라이버 트레이닝의 세 부문으로 나뉘어져 있다.

Z는 BMW의 2인승 로드스터를 뜻한다. 현재 Z4 2.5i와 Z4 3.0i 두 모델이 국내 출시돼 있다.
BMW가 자동차를 생산한 이래 많은 종류의 모델들이 새로운 얼굴로 소개됐으나, 디자인은 BMW 고유의 순수한 혈통을 이어 내려오고 있다. 전통을 고수하면서도 현대적인 BMW 디자인의 역사는 1993년부터 BMW의 수석 디자이너로 일해 온 크리스토퍼 뱅글의 말처럼 “혁명적이기 보다는 진화론적인 과정”이라고 요약된다.
수많은 자동차의 대열 속에서 BMW를 쉽게 구별해낼 수 있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자동차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많은 사람들은 2개의 신장 모양을 닮았다 해서 붙여진 ‘키드니 그릴(Kidney Grille)’을 먼저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1931년 일(Ihle) 형제에 의해 2인승 로드스터에 최초로 시험 삼아 도입됐고, 1933년 베를린 모터쇼에 소개된 신형 303시리즈에 다시 부착됨으로써 키드니 그릴은 BMW를 특징짓는 대명사가 됐다.
BMW의 역사에서 1955년 소형차였던 이세타(Isetta)와 1959년 700 모델에서 디자인 특성상 두 차례 키드니 그릴이 생략된 적이 있었다. 그러나 당시 BMW사의 대주주였던 헤르베르트 콴트(Herbert Quandt)가 이사회에서 키드니 그릴의 고수를 재천명했다. 이후 키드니 그릴은 변화하는 자동차 디자인의 형태에 따라 길어지거나 낮아지는 외관상의 변화를 거듭했으나 기본 형태는 면면히 유지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키드니 그릴은 바로, ‘함부로 변화를 취하기보다는 끊임없는 진화의 과정을 거쳐 정상에 도달하려는’ BMW 특유의 치밀한 남부 독일 마에스트로(장인) 정신의 상징이다.

BMW 라인업
뉴 BMW 328i, 335i
1975년에 생산되기 시작한 3시리즈는 2004년 말까지 4세대에 걸쳐 300만 대 이상이 판매된 베스트셸링 모델이다. 2005년 국내 출시된 5세대의 3시리즈에 이어 BMW 뉴 328i, 328i 스포츠 및 335i 등 3개의 3시리즈 모델은 지난 2월 새롭게 출시됐다.
뉴 335i에는 고정밀 직분사 3.0리터 직렬 6기통 트윈 터보 엔진이 장착돼 기존 330i 모델보다 출력은 19%, 토크는 33%가 향상됐다. 뉴 328i, 328i 스포츠는 기존 2.5리터에서 업그레이드한 신형 3.0리터 직렬 6기통 엔진을 장착했다.
특히 뉴 335i와 뉴 328i 스포츠에는 3시리즈 최초로 스포츠 세단의 진수를 나타내는 M 스포츠 패키지가 신규 적용돼 역동적인 주행 성능을 발휘한다. 뉴 335i에 장착된 신형 터보 엔진은 알루미늄 크랭크케이스로 제작됐으며, 터보랩을 최소화하는 등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으로 연료의 효율성을 높였다. 0-100km/h의 가속시간은 5.8초에 불과하며, 최고속도는 250km/h로 제한된다.
가격은 뉴 328i 모델이 6390만원, 뉴 328i 스포츠가 6660만원, 그리고 뉴 335i 모델이 8190만원이다.
BMW 3 시리즈 컨버터블
1986년 처음 데뷔해 4세대에 이른 BMW 뉴 3시리즈 컨버터블은 프리미엄 컨버터블 중 유일한 4인승 모델. BMW 최초로 전동식 하드탑이 적용됐다. 버튼 하나로 자동 개폐되는 3단계 접이식 하드톱은 경량 스틸 구조로 제작됐다. 오픈 하는데 22초밖에 걸리지 않는다.
뉴 3시리즈 컨버터블은 전체적으로 노면과 수평을 이루는 측면라인, 낮게 설계된 뒷부분 등 BMW 특유의 클래식하고 스포티한 컨버터블 라인을 간직하고 있다. 차체는 가벼우면서 동시에 강한 내구성을 갖추기 위해 혁신적인 고품질 소재로 제작됐다.
실내에는 태양광 반사기술(Sun Reflective Technol
ogy)이 적용된 특수 가죽 소재가 시트에 사용됐다. 태양광선의 적외선을 반사시켜 시트 표면의 과열을 방지해준다. 일반 가죽시트와의 표면온도 차이가 무려 20℃나 된다.
뉴 BMW 5시리즈
BMW의 베스트셸링 모델인 5시리즈는 비즈니스 세단으로는 가장 성공적인 모델이다. 올해 5월 새롭게 선보인 BMW 뉴 5시리즈는 뉴 528i, 뉴 528i 스포츠, 뉴 530i, 뉴 550i 등 4가지다.
한국 시장을 위해 출시된 뉴 5시리즈는 전 모델에 배기가스 자가진단장치인 OBD(On Board Diagnostics)를 장착했다. 전 모델의 차량 성능과 편의장치가 더욱 향상 됐지만 가격은 낮췄다. 특히 3리터 엔진을 장착한 528i 모델의 경우 6750만원이라는 파격적인 가격으로 선보여 소비자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뉴 5시리즈는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스텝트로닉 기술이 적용됐으며, 전자식 자동변속기가 장착돼 변속이 40% 정도 빠르고 정확해져 가속력과 효율성이 증대됐다.
크롬으로 둘러싼 앞쪽 헤드라이트와 뒤쪽 LED 방향지시등은 투명 유리 기술이 적용돼 세련된 느낌을 자아낸다. 실내 공간은 보다 넓어지고 중앙 계기판에 위치한 아이드라이브(iDrive) 컨트롤러, 팔걸이에는 푹신한 소재가 사용되는 등 인체공학적인 설계로 조작이 더욱 편리해졌다. 또 4가지 인테리어 색상과 6가지 인테리어 장식이 제공돼 개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뉴 5시리즈 판매 가격은 뉴 528i 모델이 6750만원, 뉴 528i 스포츠 7750만원, 뉴 530i 모델이 9150만원, 뉴 550i 모델이 1억2600만원이다.

BMW Z4 3.0si 로드스터
카리스마 넘치는 측면 ‘Z’ 라인과 강한 곡선이 어우러진 BMW Z4는 5년 전 출시된 이래 독특한 외관과 함께 다이내믹한 성능으로 전 세계 로드스터 마니아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아 왔다.
작년 새롭게 출시되면서 까다로운 유로 NCAP 충돌 테스트에서 별 4개를 획득해(5개 만점) 뛰어난 2인승 오픈 스포츠카임을 증명했다. 또 2004년 유로 NCAP 충돌 테스트의 정면충돌에서 16점 만점에 15.64점, 측면 충돌에서 16점을 획득해 동급 로드스터 중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새롭게 선보이는 Z4 3.0si는 신형 직렬 6기통 엔진을 장착, 기존 엔진보다 스릴 있는 엔진 사운드뿐 아니라 페달을 밟는 순간 즉각적인 반응을 나타낸다. 0-100km/h 가속을 6.0초 만에 끝내고, 안전최고속도는 시속 250km다.
뉴 Z4 3.0si 로드스터에는 제동 기능을 향상시킨 ‘신형 DSC(주행안정조절장치: Dynamic Stability Control) 시스템’을 적용, 안전성을 보다 높였다. 가격은 8100만원(VAT 포함).
시승 - 뉴 X5 3.0d
안락한 승차감·날카로운 핸들링 인상적
BMW 베스트셸링 모델 X5가 공격적인 외모와 더욱 업그레이드된 성능으로 7년 만에 새롭게 나타났다. 강인한 근육질 외형은 여전하지만 날렵한 인상이다.

외형은 키드니 그릴과 트윈헤드 램프의 조화로 인해 BMW의 특징을 그대로 이어받고 있다. 이전 모델에 비해 휠베이스는 4.5인치가, 실내공간의 폭과 높이는 각각 2.3인치, 2인치가 커지면서 공간은 더욱 널찍해졌다.
문을 열고 자리에 앉으면 시야가 확 트인다. 파노라마 선루프로는 하늘이 온통 들어온다. 실내도 외형과 마찬가지로 BMW 특유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계기판도 BMW 특유의 오렌지색 컬러로 높은 시인성을 보여준다. 실내 디자인은 가죽 소재와 원목을 주로 사용해 세련되면서도 고급스러움이 더해졌다.
이번에 시승한 차는 3.0d(디젤)로 6단 변속기가 기본으로 장착되고 4000rpm에서 235마력을 자랑한다. 0-100㎞/h 가속시간은 8.3초, 안전최고속도는 210㎞/h다. 야간 운전 시 자동으로 하이빔을 작동하는 하이빔 어시스트, 한글 K-내비게이션, 런플랫 타이어 등이 적용됐다. 무엇보다 차량 속도 등 주행에 필요한 정보가 운전석 윈드 스크린에 투영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시스템이 인상적이다.
키를 밀어 넣고 시동 버튼을 누르자 부드러운 디젤 엔진음이 울린다. 기어 손잡이는 조그만 게임기의 조이스틱 같다.
3.0리터 엔진에서 뿜어내는 힘은 전형적인 BMW답게 중저속 모두 탄탄한 힘을 자랑했다. 가속페달을 끝까지 밟으며 고속도로에서 앞차를 이리저리 제쳐 가지만 실제 속도보다 빠르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
덩치에 비해 핸들링 성능은 세단과 별 차이를 느낄 수 없을 정도로 뛰어나다. 고속주행 중에는 핸들에서 안정적인 묵직함이 느껴진다. 좌우로 크게 휘어진 도로에서도 몸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는다. 그만큼 코너를 정확하게 파고 들어가서 나온다. 브레이크는 좀 무뎌도 괜찮다 싶을 정도로 반응한다.
오르막길도 힘든 기색 하나 없이 가속페달을 밟는 대로 오른다. X5는 경사가 급한 내리막에서 일정 속도를 유지시키는 HDC(Hill Descent Control), 자동 수평유지장치도 들어가 있다. 이 때문에 산길과 같은 오프로드의 내리막길에서도 안전주행을 할 수 있다.
전복 방지 안전장치와 타이어 펑크가 나도 시속 80km를 유지하면서 최대 150km까지 달릴 수 있다는 건 탑승자의 안전성에 큰 도움이 될 듯하다. 3.0 디젤 엔진을 탑재해 가솔린 엔진에 비해 내구성은 떨어지겠지만, 가벼워진 차체 등 리터당 10.5km를 달릴 수 있는 경제성도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
:: 고졸 신화의 주역 김효준 사장 ::
BMW 코리아가 지난 7월 이후 2달 연속 국내 수입차 판매 1위를 차지하는 위력을 발휘했다. BMW의 월 판매대수는 6월 614대에서 7월 695대, 8월 669대로 증가했다. 최근 2년간 연간 순위에서 일본 렉서스에 밀리며 2위로 떨어진 BMW의 저력이 느껴지는 순간이다.
BMW 코리아의 이 같은 1위 행진의 배경에는 김효준 사장이 있다. 김 사장은 1975년 덕수상고를 졸업하고 바로 직장에 뛰어들어 아시아인 최초로 BMW그룹 본사의 등기임원이 된 고졸 신화의 주역이다. 김 사장은 1995년 BMW 코리아 상무로 합류해, 2000년 사장, 2003년 독일 본사 임원이 됐다. 그는 10만여 명의 전 세계 BMW 직원 중 한국인으로는 유일하게 200여 명에 불과한 이그제큐티브(executive)에 속한다.
고교 졸업 이후 20년이 지나 공부를 시작한 그는 1997년 방송통신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2000년 연세대 경영대학원에서 석사를 받았다. 지난 8월에는 한양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