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자들에게 있어 수트는 ‘품위’와 ‘격식’을 표현하는 수단이자, ‘이미지’ 표출의 도구다. 그럼에도 수트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값비싼 수트를 입고서도 스타일을 망치거나, 자신의 개성과 스타일을 잊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자신에게 어울리는 ‘스타일’을 찾는 노력이 필요한 법. 특히 T.P.O(Time:시간 Place:장소 Occasion:상황)에 맞는 스타일링으로 패션 리더로서의 전략을 세워보자.

클래식한 스타일을 만드는 방법
어깨와 허리선을 강조해 남자다움을 강조하는 수트는 남자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다. 최근 많은 패션 브랜드가 앞다투어 슬림한 수트 스타일을 선보이고 있는데, 이런 수트를 입을 때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몸에 맞는 옷을 입는 것이다. 트렌드는 슬림한 실루엣이지 온몸에 꽉 끼는 타이트한 것은 아니니, 재킷을 입었을 때 주름이 질 정도로 타이트하다면 좀 더 큰 사이즈를 골라야 한다. 클래식한 스타일을 위해서는 원단 선택도 중요하다. 원단에 따라 느껴지는 느낌 또한 다양하기 때문. 보이는 부분도 중요하지만 잘 보이지 않지만 중요한 스티치 등 사소한 디테일들도 놓치지 않는 꼼꼼함이 필요하다. 수트의 디테일을 알아야 클래식 수트를 잘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디테일들은 오랜 재봉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것으로 옷의 편안함, 입었을 때 완벽한 피팅감을 준다.
드레스 셔츠를 고를 때 중요한 것은 피부와 닿기에 100% 순면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수트를 입을 때 가장 주로 입게 되는 셔츠 컬러는 화이트이며, 다음은 블루다. 최근에는 체크와 핀 스트라이프 등 화려한 패턴을 즐기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다만 너무 굵은 스트라이프나 강하고 튀는 패턴을 선택할 경우 역효과를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하자. 기본적으로 셔츠는 넥타이와 조화를 고려해 넥타이보다 밝은 톤으로 매치하는 것이 좋다.
음식에도 궁합이 있듯 남자의 수트와 셔츠, 넥타이, 그리고 액세서리에도 궁합이 있다. 보통 스트라이프 수트에 스트라이프 셔츠, 스트라이프 넥타이는 금기 사항이라고 하지만 오히려 이를 잘 활용하기만 한다면 위트와 패션 센스를 함께 보여줄 수 있으니 잊지 말 것. 밝은 브라운 옥스포드 슈즈가 유행이라고 해서 블랙 수트에 밝은 브라운 슈즈를 매치하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브라운 슈즈는 브라운, 그레이, 네이비 수트에 어울리며 블랙 수트에는 블랙 슈즈가 이상적이다. 게다가 넥타이도 제대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 수트를 잘 차려입어도 넥타이를 잘못 매면 스타일을 망치기 쉬운 것. 넥타이에도 트렌드가 있는데, 보통 우리나라 남자들은 큰 날을 한 바퀴 감아 내리는 윈저 노트(Windsor Knot)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넥타이 연출법은 생각보다 다양하며, 윈저 노트 법은 최근 수트 트렌드와 잘 어울리지 않기도 하니 참고할 것. 점점 슬림해지는 수트 트렌드에 맞게 넥타이 노트도 슬림해지고 있는 추세다. 격조 높고 중후한 분위기의 유러피안들이 즐겨 매는 더블 크로스 노트(Double Cross Knot) 또는 플레인 노트(Plain Knot) 같은 기본적인 넥타이 매듭이 최근 수트 트렌드와 더 잘 어울리니 자신만의 스타일에 맞는 넥타이 매는 법을 선택하자.

비즈니스 & 캐주얼 스타일링 백
상황에 따른 가방 선택은 상대방에 나에 대한 첫 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비즈니스에서는 전문성, 성실함, 뛰어난 업무 능력 등이 우리가 상대방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시그널(signal)이 된다. 이 시그널이 제대로 전달된다면 신뢰감이 높아지고 업무를 더 성공적이고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되며, 반대로 잘못된 가방을 선택한다면 자칫 믿음과 신뢰가 떨어질 수도 있다. 이처럼 브리프케이스는 자신을 표현하는 또 다른 명함이자 감각을 돋보이게 하는 대표 도구다. 보다 냉철하고 전문적인 느낌의 비즈니스맨을 연출하고 싶다면 가장 기본적인 사각모양 브리프케이스가 좋다.
세련되고 자유로운 분위기의 비즈니스 룩을 연출하고 싶다면 포트폴리오백을 추천한다. 최근에는 수트에 백 팩을 연출하는 것도 하나의 트렌드가 됐다. 비즈니스용 백 팩은 노트북이 들어가는 별도 공간이 마련돼 있어 편리하다. 백 팩의 경우 너무 화려한 색상보다는 블랙이나 브라운 등 튀지 않는 색상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주말이나 휴가 시에는 자칫 잘못하면 지나치게 편안한 스타일을 연출하는 오류를 범하기 쉽다. 이럴 때 가방 하나만 잘 선택해도 스타일리시한 캐주얼 룩을 연출할 수 있다. 캐주얼 룩(Casual Look)이나 세미 수트 룩(Semi Sute look)에도 연출할 수 있는 백 팩은 최근 남자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가방 중 하나다. 최근 아이패드, 아이폰 등 IT기기가 늘어나 넉넉한 수납공간이 필요해진 소비자들은 수납할 공간이 많고 디자인까지 세련된 백 팩을 선호하게 된 것이다. 캐주얼 룩에서 가장 편하게 스타일링할 수 있는 가방은 역시 크로스백이다. 크로스백은 어깨끈이 몸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디자인이기 때문에 무조건 튀는 컬러와 디자인보다는 전체적인 룩의 분위기를 맞춰갈 수 있는 심플한 디자인이 좋다. 반면 패셔니스타의 아이템으로 자리 잡은 빅 토트백은 조금 과감한 패션에 안성맞춤이다.
스타일리시한 여행 스타일링 백
스타들의 공항패션이 주목받는 만큼 여행과 공항에서의 스타일링은 중요해졌다. 캐리어와 여행 가방 역시 그저 짐 가방에 불과하던 시대는 지난 것. 캐리어의 선택이 여행 스타일링의 마무리로 인식되고 있을 정도다. 해외로 휴가를 가는 경우 기다리던 여행인 만큼 설레는 휴가지 스타일 룩에 어울리는 경쾌하고 눈에 띄는 컬러의 캐리어가 좋다. 자칫 어둡고 무거운 느낌의 캐리어를 휴가 스타일링에 매치할 경우 여행을 위해 준비한 자신의 화려한 의상들에 묻혀 언밸런스한 상황이 연출되기도 한다. 해외 여행을 가서 어떠한 가방을 매치해야 할지 고민이라면 캐리어 안에 접어서 가져갈 수 있는 ‘저스트 케이스 인 토트(Just case in tote)’를 챙겨가는 것도 좋다. 사각모양으로 접어 캐리어에 보관할 수 있다. 많은 부피를 차지하지 않아 실용적이다. 여행지에서 가방을 펴고 모양을 잡아주면 금세 스타일리시한 가방으로 연출 할 수 있다.
비즈니스 출장일 경우에는 프로페셔널하게 보여줄 수 있는 고급 블랙 캐리어가 좋다. 디자이너 조르지오 아르마니는 “조화는 성공하는 사람의 패션 전략에 있어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하는 항목이며, 재킷에 어울리는 셔츠, 셔츠에 어울리는 넥타이, 수트와 구두의 조화, 구두와 양말의 매치 등 어느 하나도 소홀하게 다루어서는 안 된다”고 말하기도 했다. 출장을 위해 아르마니의 수트를 입고 롤렉스 시계를 차고 있지만 이 완벽한 모습에 일반 대형마트에서 파는 캐리어를 들고 있다면 이것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0점’짜리 스타일링이 되는 것이다. 해외 출장 시에는 심플하고 디테일에 신경 썼으며 업무 서류와 셔츠 등을 보관하기 편리한 캐리어가 좋다. 국내 단기 여행의 스타일링에는 크기가 넉넉한 보스턴 백이나 더플 백을 매치해보자. 예전에는 가방의 무게감을 줄이기 위해 천 나일론 소재의 빅 백을 많이 들었지만 최근 여행 시에도 자신의 스타일과 감각을 연출할 수 있는 가죽 소재의 보스톤 백이 인기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