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은 ‘하나가 둘을 낳는다(一生二)’는 원리에 따라 음양의 조화와 변화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공자는 주역을 통해 하늘의 이치를 깨달아 자신을 연마하고 세상을 이롭게 하라고 제안했다.
주역은 ‘하나가 둘을 낳는다(一生二)’는 원리에 따라 음양의 조화와 변화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공자는 주역을 통해 하늘의 이치를 깨달아 자신을 연마하고 세상을 이롭게 하라고 제안했다.

주역, 우리 삶을 말하다
김기현 지음 | 민음사
각권 2만7000원 | 상하 각각 656쪽, 676쪽

<주역>은 동양의 고전 중에서 가장 신비스러운 책이다. 주역은 상(象)이란 상징의 연속이다. 우주 만물의 상징이 담겨있다. 공자는 이렇게 말했다. “글은 말을 다 담지 못하고 말은 뜻을 다 밝히지 못한다. 그래서 성인(聖人)이 상을 세워 뜻을 다 밝히셨다.”

김기현 전북대 윤리교육과 교수가 <주역>을 쉽고 간결하게 풀이한 책을 냈다. 그는 <주역>이 철학과 지혜의 책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주역>을 서양에 소개한 리하르트 빌헬름의 말을 인용했다.

<역경(易經)>의 철학은 인간의 의식적인 삶에서부터 무의식적인 영역으로까지 더욱 깊이 파고 들어가 우주-영혼의 체험에 대한 통일적 이미지를 전달해준다.”

김기현 교수는 <주역>을 마치 문학비평가가 한 편의 시를 해석하듯이 다양한 뜻풀이의 가능성을 열어 놓고 이미 나온 여러 해석도 참조했다. 그는 먼저 <주역>의 기본인 음양(陰陽)을 가리켜 ‘이원적인 것이 아니라 한 힘의 역동적인 분화 양상’이라고 봤다. “음양의 관념은 사물의 존망(存亡), 동정(動靜), 명암(明暗), 대소(大小), 상하(上下), 내외(內外) 등 존재 현상이나 인간사의 존비(尊卑), 귀천(貴賤), 길흉(吉凶), 선악

(善惡) 등 가치 관념상 각종 대립적인 성질들까지도 망라한다.”


<주역>은 변화를 주제로 하는 책

그는 <주역>의 괘효(卦爻)를 해석하는 기본을 제시했다. 첫째, 시공간적인 상황. 중국의 성리학자 정이는 “<주역>은 변화를 주제로 한다. 수시 변화의 정신에 입각해 진리를 밝히려는 것”이라고 했다. 서양학자들이 영어로 <주역>을 번역할 때 ‘변화의 책(Book of Changes)’이라고 한 까닭도 여기에 있다고 한다.

둘째 효의 위치. “예를 들면 한 괘 안에서 다섯 번째 효는 대개 지도자의 자리를, 첫 번째 효는 낮은 지위나 아예 지위를 갖지 못한 경우를, 마지막 효는 지위를 잃은(벗어난) 사람을 은유한다. 물론 효들 사이의 위아래도 고려의 대상이 된다. 거기에는 지배와 복종의 권력 관계가 형성돼 있을 수 있으며, 그렇지 않더라도 이웃으로서의 중요한 의의를 갖기 때문이다.”  그는 이어서 효의 성질, 중도(中道)의 정신, 음양 호응의 여부를 따지면서 <주역>을 해석했다고 밝혔다. 

그는 <주역>이 상징과 은유로 가득 찬 책이라고 했다. 자신의 해석이 결코 절대적이지 않다고 강조했다. “시공간을 넘어 그것을 읽는 사람의 관점이 작용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필자의 작업에 필자 자신의 세계관과 삶의 철학이 개입되는 것은 당연할 수밖에 없다.”

그는 <주역>의 첫 머리를 장식한 ‘건(乾)’괘를 이렇게 풀이했다. “옥편상 하늘을 뜻하지만, 엄밀히 말해 ‘천(天)̓과는 다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즉 그것은 가시적이고 물리적인 하늘과는 달리, 그 이면에서 작용하는 하늘의 속성을 가리킨다. (중략) 이 괘는 그것을 용(龍)으로 은유한다. 다 아는 것처럼 용은 구름과 비를 몰고서 온갖 조화를 부리는 상상 속의 상서로운 동물로, 창조적인 역량의 대표적 상징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건괘’에서 용이 상황에 따라 변신하는 모습은 사람들이 배워야 할 지혜를 함축한다.”

그런 해석을 따라가다 보면 <주역>은 단순히 점치는 책이 아니라 문학적 비유가 풍부한 책으로 읽힌다. 제4차산업혁명을 앞두고 ‘상상력을 키우라’라고들 한다. <주역>이 새롭게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