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자 목적은 무엇인가?’ ‘얼마를 투자할 생각인가?’ ‘투자한 주식에서 50% 이상 손실이 난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미국의 로보 어드바이저 사이트를 방문하면 기본적으로 접하는 질문들이다. 로봇이 묻고 투자자가 답한다. 답을 들은 로봇은 투자자의 투자성향을 재빠르게 분석한다. 성향을 파악한 후 개인에게 맞는 포트폴리오를 추천하고 이를 자동으로 관리한다.
로보 어드바이저(Robo Advisor)는 알고리즘·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한 자동화 자산관리 서비스를 말한다. 인공지능(AI)의 발달로 투자 및 자산관리의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美, 200여개 로보 어드바이저 업체 성업 중

글로벌 컨설팅사 AT커니는 로보 어드바이저 시장 규모가 2020년 2조달러(약 2359조원) 수준까지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시티그룹도 향후 10년 내 로보 어드바이저 자산이 5조달러(약 5897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미국에는 약 200여개의 로보 어드바이저 전문업체가 있다. 이들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고객의 자산을 일임해 직접 관리하는 운용형과 고객 포..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