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 경제에서 가족 경영 체제 기업들의 영향력이 매우 크다. 민간 경제 부문에서 절반에 육박하는 비중을 차지하고, 전체 고용의 40% 가까이 책임진다. 인도 국민의 절반가량이 농민인 점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수치다. 특히 릴라이언스그룹 등 인도를 대표하는 거대 가족 기업들은 정치권과 유착 관계를 가져 은행 대출을 독점하고 규제를 통해 경쟁 업체들의 성장을 가로막는 특혜를 누리며 몸집을 불려왔다. 뉴욕대(NYU) 스턴경영대학원의 러셀 와이너 교수는 이들 기업이 “거대한 인도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에 만족하다 보니 국제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글로벌 시장 진출 의지도 약할 수밖에 없었다”고 지적했다.
와이너 교수는 미국에서도 손꼽히는 마케팅 대가이자 인도 시장 전문가다. 컬럼비아대와 캘리포니아대 버클리 캠퍼스(UC버클리), 밴더빌트대 등 미국 명문대의 경영대학원에서 교수를 역임했고, 인도경영대(ISB)를 비롯한 다수의 인도 경영대학원에서 여러 해 동안 방문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12년 삼성전자와 애플 간 특허소송 당시 애플이 채택한 7인의 ‘스타급 증인’ 중 한 명이기도 하다. 지난해에는 미국마케팅협회(AMA)로부터 ‘마케팅의 전설(Leg..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