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베이징에서 한 중국인이 공유자전거 모바이크를 이용하고 있다. 사진 오광진 특파원
중국 베이징에서 한 중국인이 공유자전거 모바이크를 이용하고 있다. 사진 오광진 특파원

3월 21일 밤 중국 우한(武漢)에 투입된 공유자전거 칭쥐(靑橘)가 다음 날 시 정부 명령으로 수백여 대 자전거를 수거당하는 일이 발생했다. 올 1월 청두(成都)를 시작으로 이미 5개 도시에 진출한 칭쥐가 서비스 개시 하루도 안 돼 중단 통지를 받은 곳이 광저우·쿤밍·선전에 이어 네 곳으로 늘었다. 칭쥐는 중국 최대 차량호출 서비스 업체 디디추싱(滴滴出行)이 만든 공유자전거다. 디디는 작년 11월 서비스를 중단한 블루고고의 운영권을 인수해 올 1월 위탁 서비스에 들어갔다. 투 트랙으로 공유자전거 시장에 발을 들여놓은 디디는 높아진 진입 문턱을 실감하고 있다.

디디의 행보는 고속철도·전자상거래·모바일결제와 함께 중국의 현대판 4대 발명으로 꼽히는 공유자전거의 현실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시장 빅뱅 뒤에 △규제 강화 △구조조정 가속 △다른 영역과의 융합 등의 흐름을 타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중국의 공유자전거 시장은 2015년 오포가 베이징대 캠퍼스, 2016년 모바이크가 상하이 거리에서 시작하면서 빅뱅의 불씨를 댕겼다. 아무 곳에나 주차할 수 있고, 스마트폰으로 결제하는 편리성에 가입자가 늘면서 창업 붐이 일었고, 자본이 가세했다. 류샤오밍 중국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