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트작 제조기인 슈퍼셀의 게임 개발팀은 ‘셀’ 단위로 이뤄져 있다. 회사 이름인 슈퍼셀은 여러 개의 셀이 모여 ‘슈퍼셀’을 이룬다는 의미다. 사진은 2013년 일본 도쿄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한 일카 파나넨 슈퍼셀 CEO. 그의 뒤로 슈퍼셀 직원들이 보인다. 사진 블룸버그
히트작 제조기인 슈퍼셀의 게임 개발팀은 ‘셀’ 단위로 이뤄져 있다. 회사 이름인 슈퍼셀은 여러 개의 셀이 모여 ‘슈퍼셀’을 이룬다는 의미다. 사진은 2013년 일본 도쿄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한 일카 파나넨 슈퍼셀 CEO. 그의 뒤로 슈퍼셀 직원들이 보인다. 사진 블룸버그

“제임스 대표님은 아메리카노 드신대요. 브라이언님은 어떤 음료 주문하시겠어요?”

서울 테헤란로에 있는 중견기업에서 근무하는 직장인 유지혜씨는 사내에서 동료들과 서로 영어 닉네임으로 부를 때마다 낯간지럽다고 한다. 회사는 수평적인 기업 문화를 지향한다는 이유로 3월부터 영어 닉네임 제도를 도입했다. 네이버, 카카오 등 IT 대기업 등이 도입한 기업 문화 대세를 따랐다. 하지만 이름만 영어 닉네임을 도입했을 뿐 조직 문화는 여전히 구시대적이라는 게 유씨의 평가다. 그는 “호칭만 별명이나 ‘~님’으로 부를 뿐,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의사 결정 방식 등은 여전하다”고 했다.

최근 한국 기업에 경영 조직 혁신 바람이 불고 있다. 시대 흐름에 맞게 형식에 얽매여 있던 기존 조직 문화를 버리고 성과 중심, 유연한 조직을 만들겠다는 취지다. 대표적인 흐름이 직급 폐지, 자율 좌석제 도입, 복장 자율화 등이다. 보수적인 집단으로 유명한 현대차 그룹은 최근 정기 공채를 없애고 임원 직급도 축소했다. SK그룹은 본사 서린빌딩을 공유 오피스로 리모델링하고 있다.

이런 조직 개혁 분위기는 세계적인 흐름이다. 실제로 글로벌 인사 컨설팅 회사 머서의 ‘2019 글로..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