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립보건원이 2월 27일 공개한 사진. 전자현미경으로 본 입자가 배양된 세포 표면에 나타난 코로나19 바이러스다. 가장자리에 있는 뾰족한 왕관 모양 때문에 ‘코로나(라틴어로 왕관을 의미)’라는 이름이 붙었다. 사진 AFP연합
미국 국립보건원이 2월 27일 공개한 사진. 전자현미경으로 본 입자가 배양된 세포 표면에 나타난 코로나19 바이러스다. 가장자리에 있는 뾰족한 왕관 모양 때문에 ‘코로나(라틴어로 왕관을 의미)’라는 이름이 붙었다. 사진 AFP연합

평균 지름 100㎚(나노미터·1000만분의 1m).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500분의 1에 불과한 미세한 입자가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고 있다. 바이러스, 그중에서도 왕관 모양의 돌기를 가진 코로나 바이러스다. 이 바이러스는 무엇이기에 인간을 죽음으로 내몰고 세계를 위협하는 것일까. ‘이코노미조선’은 바이러스, 그중에서도 코로나 바이러스를 알아봤다. 동물 감염학 분야 국내 최고 전문가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최강석 서울대 수의학과 교수의 도움을 받았다.

바이러스는 유전체인 핵산을 단백질이 감싸 보호하는 구조다. 홀로 증식이 불가능하기에 다른 생명체를 숙주로 삼는다. 스스로 복제 증식할 수 있는 세균과 다른 점이다. 일단 세포에 달라붙은 바이러스의 유전체가 세포 안으로 들어가면, 그때부터는 쉽다. 세포의 대사 도구를 통해 새끼 바이러스를 대량으로 찍어낸다. 이 바이러스가 다시 다른 세포로 가 감염하고 복제 증식이 이뤄지면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바이러스마다 선호하는 증식 부위도 다르다. 신경세포에 붙으면 신경성 질환, 호흡기 점막에 붙으면 호흡기 질환, 위장에 달라붙으면 소화기 질환을 일으킨다.

코로나19는 2002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