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 정치학 박사, 현 한국형리더십개발원 원장, ‘세종처럼’ ‘정조평전’ ‘세종의 적솔력’ 등 저자
대한민국 리더들에게 조선 제3대 왕 태종 이방원(1367~1422년)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그의 리더십은 한마디로 거대한 시대의 전환을 인식하고, 스스로 조타수가 돼 조선이라는 배를 안전하게 목적지에 정착시키는 능력이다. 훌륭한 선장이 그러하듯이 뛰어난 리더는 항해의 목적지와 바람과 조류의 흐름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 서로 선장이 되겠다고 나서는 경쟁자들을 제치고 방향키를 잡아야 한다. 14세기 말 태종이 그랬다.
정확한 정보와 신속한 실행력
태종은 중원대륙에서 일어나는 패권의 변화를 정확히 인지했다. 명나라의 수도 난징(南京·남경)을 두 차례 다녀오면서 신흥 패권국 명나라 모습을 세심히 관찰했다. 1388년(우왕 14년) 10월 처음 중국에 갔을 때, 명 태조 주원장은 장수 남옥에게 15만 군대를 맡겨 몽골 잔존 세력을 지금의 바이칼호까지 추격해 대파시켰다. 두 번째 중국행은 제국 명나라를 다른 시각으로 관찰하는 기회가 됐다. 1394년(태조 3년) 6월 한양을 출발해 이듬해 11월에 귀국했으니 결코 짧지 않은 시간이었다. 태종은 난징에 머물면서 주원장이 어떻게 조직을 장악하는지를 관찰했다. 주원장의 전각(殿閣)정치, 즉 문연각(文淵閣)·..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