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는 구글이나 바이두 같은 다른 해외 정보 검색 엔진과는 성격이 완전히 다르다. 구글과 아마존이 합친 형태에 가깝다. 이런 모델은 전 세계에서 네이버가 거의 유일하다.”
최근 ‘플랫폼 제국의 탄생과 브랜드의 미래’를 쓴 김병규 연세대 경영대 교수는 2월 16일 ‘이코노미조선’과 전화 인터뷰에서 이렇게 밝혔다. 그는 “온라인 플랫폼이 수요자와 공급자를 이어주는 ‘중개자’라고 본다면, 자체 콘텐츠를 생산·공급하는 네이버는 엄밀한 의미에서 플랫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음은 김 교수와 일문일답.
네이버의 성장 동력은 무엇인가.“내재화(internalization)다. 네이버는 이용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주요 메뉴와 콘텐츠를 직접 제공한다. 네이버 뷰(View)나 지식iN도 모두 네이버가 만든 것이다. 구글처럼 단순히 이용자들에게 외부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치는 게 아니라, 자체적으로 콘텐츠를 생산한다. 이런 내재화 전략이 네이버가 한국 시장에서 압도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비결이다.”
어째서 그런 방식이 한국 시장에서 유효했을까.“미국에선 인터넷 태동기에 수많은 개인 웹사이트가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효과적으로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