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하세요.’ 만성 질환이나 근골격계 질환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이 의사로부터 가장 많이 듣는 말 중 하나다. 하지만 당장 어떤 운동을 해야 할지, 시작부터 고민이다. 운동을 시작하더라도 제대로 운동하고 있는지, 운동 후 효과도 궁금하다.
숙제를 내준 의사도 난감하다. 환자에게 책이나 영상 교육 자료를 내주지만, 환자가 제대로 따라 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서울대 의대에서 정형외과 전문의를 딴 윤찬(39) 대표는 환자와 의사의 고충을 해결하려고 근골격계 질환 디지털 치료 솔루션을 제공하는 ‘에버엑스’를 창업했다.
세계 근골격계 질환자는 17억 명으로 추산된다. 국내 환자 규모도 계속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에 따르면 지난 2019년 국내 근골격계 질환 진료 환자 수는 1761만 명으로 집계됐다. 국민 3명 중 1명이 척추·관절 등에 문제가 생겨 진료받는다는 뜻이다.
운동 치료는 정형외과에서 치료의 한 축으로 자리 잡았지만, 재활 운동 치료를 받는다는 환자는 손에 꼽는다. 환자들은 병원에 가는 게 부담이고, 병원도 운동 치료 수가가 한 번에 1만원 수준이라 사업성이 떨어지니 적극적으로 영업하기 어렵다. 에버엑스는 이 같은 모순을 디지털 기술로 해결하겠다는 비전으로 지난 2019년 출범했다.
에버엑스가 개발한 운동 치료 플랫폼 ‘모라(MORA·Mobile Orthopedic Rehabilitation Assistant)’는 약 3000개의 치료 동작과 150개가량의 치료 커리큘럼을 구축했다. 현재 슬개대퇴통증증후군, 만성요통, 전방십자인대 손상 등 30개 정도를 적응증으로 두고 있는데, 오는 2024년까지 전체 근골격계 질환 절반을 커버하겠다는 계획이다.
윤 대표의 올해 목표는 미국 등 해외 진출이다. 지난해 2월 미국 법인을 설립하고 현지 파트너와 협업 병원을 선정하고 있다.
윤 대표는 “아무리 좋은 의료기기도 좋은지 안 좋은지 써 보지 않으면 알 수 없다”라며 “디지털 의료기기(DTx)가 제대로 자리 잡기 위한 첫 단계는 환자들이 적극적으로 쓸 수 있도록 하는 환경 조성이다”라고 말했다. 1월 2일 서울 서초구 에버엑스 본사에서 윤 대표를 만났다. 다음은 일문일답.
정형외과 전문의면서 창업한 계기는.
“정형외과 전문의로 진료를 본 지 10년 정도 됐다. 진료하면서 운동 치료, 재활 치료가 중요하다고 강조해도 환자들이 잘 따르지 못하는 게 아쉬웠다. 수술이 잘돼도 재활・운동 치료가 부족해 결과가 안 좋아지는 경우도 있었다. 환자가 집에서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전달해도 실제로 운동까지 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환자가 재활 운동 일지를 기록해도 피드백을 주기 어려운 부분도 있었다. 방법을 찾던 중 디지털 의료기기로 해결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나.
“근골격계 질환에서 운동 치료의 최우선 목적은 통증을 줄이는 것이다. 환자가 하루 30분씩 꾸준히 재활 운동을 하면 통증은 줄어든다. 문제는 통원 시간이다. 30분 운동 치료 때문에 1시간 거리 병원을 와야 한다. 경제적으로도 부담이다. 운동 치료는 수가가 1회당 1만원 정도로 저렴하다. 병원이 적극적으로 권장하기도 어려운 구조란 뜻이다. 운동 치료를 하면 환자 상태가 충분히 좋아질 수 있는데, 이런저런 이유로 하지 못하는 이른바 ‘미충족 수요’가 발생한다고 봤다.”
재활 운동을 하고 싶지만, 못 하는 환자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나.
“모라 솔루션으로 운동 치료를 했더니 환자 수행률이 70%가 나왔다. 다른 질환 분야의 디지털 의료기기 평균 환자 수행률은 50%에 그치는 것을 감안하면, 통증을 줄이는 근골격계 질환자의 운동 재활 니즈가 크다는 방증이라고 봤다.”
환자 수행률이 70%라는 게 어떤 의미인가.
“모라는 환자에게 운동 영상을 제공하고, 환자가 얼마나 운동했는지 시간을 측정해 기록하게 돼 있다. 수행률은 처방 시간 대비 환자의 실제 운동 시간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매일 30분씩 일주일간 운동을 처방할 경우 총 210분인데, 수행률이 70%라면 환자가 150분을 운동했다는 뜻이다. 수행률이 높다는 건 의료비 지출을 줄일 가능성이 크다고도 볼 수 있다.”
기존 운동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앱)과 차별점은.
“홈트레이닝 플랫폼이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면, 모라는 의료진 처방을 받아야 쓸 수 있는 플랫폼으로, 환자 특화 솔루션이다. 운동 동작 중에 질환이 있거나 수술, 치료를 받는 경우에는 위험한 동작들도 있다.”
글로벌 근골격계 질환 치료 트렌드는.
“정형외과 질환에서 수술은 일정 수준에 도달했다. ‘정답’이라고 불릴 만한 치료 가이드라인이 구축됐단 뜻이다. 수술해야 하는 환자와 수술하지 않아도 되는 환자를 구분하고, 수술하지 않아도 되는 환자를 수술 없이 얼마나 잘 끌어갈 수 있는지에 따라 치료 결과가 좌우된다. 이를 ‘퀄리티 케어’라고 부른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해 달라.
“과거 정형외과 치료는 치료 행위를 하면, 값을 지불하는 방식이었다. 이제는 치료 결과에 주목한다. 치료는 질환을 개선하려고 하는 것인데, 치료를 해도 병이 낫지 않았다면 목적 달성에 실패한 것이다. 이런 트렌드를 맞춰가다 보면 재활 영역이 중요해진다. 정형외과에서는 수술과 재활이 각각 절반씩 치료 결과를 좌우한다. 재활의 중요성을 강조하면 치료 퀄리티가 좋아진다.”
회사에 본격적으로 매출이 나기 시작하는 시점은 언제로 보나.
“디지털 의료기기를 시장에 내놓으려면 임상을 통해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허가를 받은 후 심평원에서 수가를 인정받는 과정이 필요하다. 모라가 식약처 허가를 받으면, 국내 최초 근골격계 질환 디지털 의료기기가 된다. 디지털 의료기기에 대한 수가가 있는 미국에 진출하는 방법도 고민 중이다.”
미국 진출은 언제쯤으로 예상하나.
“2024년 정도로 보고 있다. 미국 현지 파트너를 찾아 타깃으로 할 병원들을 선정하고, 병원 맞춤형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 절차도 준비 중이다. 미국 진출 지역은 보스턴이 유력하다.”
미국 시장 전망은.
“미국은 한국과 비교해 진료 환경이 열악하고, 의료 접근성 자체가 떨어지고, 의료비도 비싸다. 민간 보험이 없으면 재활 치료 한 번에 1000달러(약 120만원)를 내야 한다. 여기에 미국은 치료비를 낼 때 치료의 질을 평가하는 식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치료의 질을 높이기 위해 디지털 의료기기 활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는 뜻이다.”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도 디지털 의료기기에 관심이 많나.
“그런 것으로 안다. 제약사들이 신약을 개발하면, 그 약을 사용한 환자들의 상태가 어떻게 좋아지는지 추적 관찰해서 정보를 축적해야 한다. 환자 정보를 얻는 최적의 수단이 디지털 의료기기다. 그리고 근골격계 질환의 경우 약만으로 병이 좋아지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디지털 의료기기가 곧 의료 시스템에서 자리 잡을 것이라는 전망에는 이견이 없다.”
디지털 의료기기가 제대로 자리 잡으려면.
“디지털 의료기기 개발 업체가 활발히 연구 개발해 혁신적인 제품을 시장에 내놓을 수 있도록 정부에서 다양한 관심을 가져줬으면 한다. 국내서 디지털 의료기기가 자리 잡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정책 도입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 첫 단계로는 쓸 수 있게 해줘야 한다. 써 봐야 좋은지, 안 좋은지 알 수 있지 않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