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호정 알지티 대표
충남대 메카트로닉스공학, 
연세대 경영학 석사 과정
정호정 알지티 대표와 자율주행
서빙 로봇 ‘써봇’. 사진 알지티
정호정 알지티 대표
충남대 메카트로닉스공학, 연세대 경영학 석사 과정 정호정 알지티 대표와 자율주행 서빙 로봇 ‘써봇’. 사진 알지티
국내에 공급되는 서빙 로봇은 국산과 중국산, 미국산 제품으로 나뉜다. 시중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서빙 로봇은 중국 푸두테크놀로지가 만든 제품으로 국내 독점 총판인 브이디컴퍼니가 저가에 판매하고 있다. 우아한형제들의 자회사인 비로보틱스 역시 중국산 서빙 로봇을 사용하고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가 있는 베어로보틱스의 서빙 로봇은 한국인이 만든 회사라는 특징 때문에 미국산 겸 국산으로 불린다. 베어로보틱스의 서빙 로봇은 글로벌 확장성과 기술력에 장점이 있다. 순수 국산 서빙 로봇인 알지티의 ‘써봇’은 20대 공대생이 100% 토종 기술로 만들었다. 알지티는 식당에서 쓸 수 있는 서빙 로봇을 제작해 2021년부터 양산해 판매 중이다. 최근 서울 금천구 서울사무소에서 만난 정호정(33) 알지티 대표는 “대학생 시절 고모를 도와 미국에서 대형 외식업 프랜차이즈를 운영했는데, 인력난에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면서 대안이 없을까 생각했다”라며 “사람을 대신해 로봇이 음식을 나르면 되겠다고 생각해 서빙 로봇을 만들게 됐다”라고 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간단한 자기소개를 부탁한다.
“서빙 로봇을 만드는 알지티 대표 정호정이다. 알지티를 창업하기 전에는 대학생이었다. 충남대 메카트로닉스공학과 재학 시절 자율주행로봇을 만들어본 경험이 있다. 메카트로닉스란 기계공학(mechanics)과 전자공학(electronics)을 통합한 것으로, 자동화와 로봇 등을 배웠다. 그중에서도 산과 같은 험지에서 운행하는 자율주행로봇을 만들어본 경험이 있다. 인력난으로 힘들어하는 고모를 보면서 식당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율주행 로봇 제작도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2016년 처음 혼자서 로봇 연구 개발을 시작해 2018년 알지티를 창업했고 직원들을 채용하게 됐다.”

기업명 알지티는 어떤 의미인가.
“알지티는 로봇 글로벌 팀(Robot Global Team)의 약자로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다. 첫 번째로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모여 전 세계 서비스 로봇을 대표하는 기업이 되고자 하는 포부가 담겨있다. 실제 알지티에는 한국, 미국, 중국, 인도, 파키스탄 등 실력 있는 다양한 국적의 팀원들이 함께 서비스 로봇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두 번째는 국내의 작은 로봇 시장을 넘어 글로벌한 로봇을 판매하는 회사가 되자는 의미다.”

알지티가 만든 서빙 로봇을 소개해달라.
“알지티의 자율주행로봇인 써봇은 초기에 외식 업장을 중심으로 공급돼 주문과 결제, 서빙, 퇴식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 하지만 알지티의 궁극적인 목표는 서비스 로봇 종합 솔루션 기업으로, 단순히 ‘서빙’으로 외식 업장에서 기능하는 것에서 나아가 다양한 서비스업장에서 인간을 도와 서비스 질을 높이는 데 있다. 스크린골프장, 헬스장, 복합 쇼핑몰(지하상가 등), 요양 시설, 마트, PC방 등으로 서비스 영역을 넓혀나가고 있다.”

국내 서빙 로봇 시장은 어떤 상황인가.
“현재 국내에 공급되는 서빙 로봇은 크게 중국 제품과 미국 제품으로 나뉜다. 국산 제품은 일부다. 중국은 푸두테크놀로지가 대표적이고 미국은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베어로보틱스를 꼽을 수 있다. 중국 푸두테크놀로지의 경우 국내 독점 총판을 맡고 있는 브이디컴퍼니를 통해 서빙 로봇인 푸두봇을 국내에 공급해 90%의 국내 서빙 로봇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베어로보틱스는 KT를 통해 국내에 서빙 로봇 서비를 공급하고 있다. 우아한형제들은 지난해 SK쉴더스와 함께 전략적 제휴를 맺고 중국 오리온스타의 서빙 로봇을 국내에 공급하고 있다.”

국산 제품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다양한 제품이 늘어나고 있다. LG전자의 주력 제품은 병원이나 도서관, 물류창고 등에서 활약하는 상업용 서비스 로봇이다. LG전자는 호텔, 병원, 레지던스, 식음료 등 다양한 버티컬 시장에서 서빙 로봇, 배송 로봇, 물류 로봇, 안내 로봇, 살균 로봇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LG전자 로봇은 파트너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확장성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인공지능(AI) 물류 플랫폼 업체인 파스토(FASSTO) 및 CJ대한통운 등과의 업무협약으로 자율주행로봇 및 배송 솔루션, 배송 전반과 물류 솔루션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KT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플랫폼 구축과 정부 추진 로봇 산업 확산 등에 힘쓰고 있다. LG전자는 자율주행, 센서, AI, 카메라 등 로봇 솔루션 기술과 KT의 통신‧네트워크 기술력을 접목해 로봇 솔루션 고도화에 나서고 있다. LG전자 외에도 주요 대기업들이 미래 먹거리로 로봇을 선택하고, 서빙 로봇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현대로보틱스는 로보월드 등 국내 주요 로봇 전시회에서 방역 로봇, 서빙 로봇을 대거 선보이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삼성 봇 핸디·아이·서빙·가이드와 웨어러블 보행 보조 로봇 젬스 등을 연구하고 있다.”

경쟁사 대비 알지티 제품의 장점은 무엇인가.
“알지티 로봇의 장점은 고성능 라이다(LiDAR) 센서를 통한 완벽에 가까운 자율 회피 주행 기능이다. 라이다 센서는 우리 눈과 똑같아서 유리창과 같은 투명한 물체와 조명의 반사 등에 민감하다. 라이다 센서의 성능이 좋아질수록 민감도가 커진다는 한계가 있다. 알지티는 이런 라이다 센서의 취약점을 개선한 특허를 출원했다. 라이다 센서는 로봇의 자율 회피 주행을 위해서는 거의 필수적인데, 이 취약점 때문에 커튼을 친다든지 인테리어 요소를 바꿔야만 하거나 오작동이 일어나는 일이 많다. 알지티 써봇은 자체 조사 및 파트너사의 피드백을 통해 투명 유리창, 햇빛 등의 장애 요소가 있는 곳에서도 거의 완벽하게 자율 회피 주행을 하고 있다.”

또 다른 장점이 있는가.
“연동성이 뛰어나다. 알지티가 복합 쇼핑몰에서 운행이 가능한 것은 뛰어난 자율 회피 주행 기술력 외에도 기존의 업장에서 사용하는 주문 결제 등의 시스템과 100% 연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관련 특허도 역시 출원했다. 경쟁사 제품의 경우 앱(애플리케이션)이나 플랫폼 등 별도의 시스템을 추가로 구축해서 연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써봇은 기존 사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시스템과 100% 연동할 수 있다.”

중국산 로봇은 저렴하다는 것이 장점인데, 단점과 한계는.
“중국산 제품은 가격은 싸지만, 천장에 마커라는 요소를 달아 적외선 레이저를 쏴서 테이블을 인식하는 방식을 주로 쓴다. 마커가 테이블 번호가 되는 식이다. 이 경우 정확한 위치 조정이 어려우며 회피 주행에서도 취약점이 많이 있고 테이블 위치 변경 등이 힘든 구조다. 가격 측면에서도 알지티 써봇은 유지 보수를 포함한 50만~60만원대의 기본 요금제부터 필요에 따라 출장 서비스를 제외한 월 30만원대 요금제 등으로 합리적인 렌털 상품을 선보이면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향후 알지티 사업 목표와 해외 진출 계획은.
“지금처럼 단순 외식 업종에서만이 아닌 영역 확대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아직도 써봇을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이 무궁무진하게 있다고 생각한다. 

당장 올해는 미국, 일본, 캐나다 쪽에 집중 수출할 것으로 기대한다. 올해 하반기에 투자 유치 계획이 있다. 현재 알지티는 전국에 대리점망이 있고 수출 역시 전문 대리점들이 있다. 6개국에 수출 중인데 알지티 써봇의 반응이 좋아 현재 계약된 수출국에서 지역 범위를 확장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예컨대 미국이라면 수출하는 주(州)를 늘리는 형식이다.”

Company Info

회사명 알지티(RGT)
본사 대전시 유성구
창업자 정호정
설립 연도 2018년 2월
사업 서빙 로봇 개발 및 유통
투자 유치액 40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