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혜민 핀다 대표
고려대 서어서문학, 로켓인터넷·
글로시박스 공동 창업자, 피플앤코 
공동 창업자, 눔코리아 공동 창업자
이혜민 핀다 대표
고려대 서어서문학, 로켓인터넷· 글로시박스 공동 창업자, 피플앤코 공동 창업자, 눔코리아 공동 창업자

“대출 시장은 금융기관마다 제공하는 금리가 다를 뿐 아니라 이용자들이 얻을 수 있는 정보도 제한적이다. 특히 중저신용자의 경우, 기관에 따라 금리 편차가 10%포인트 이상 난다. 핀다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대출 비교 서비스를 주력으로 삼고 있다.”

이혜민 핀다 대표는 최근 인터뷰에서 국내 대출 시장의 고질적인 문제로 ‘정보의 비대칭성’을 꼽았다. 그는 “과거부터 더 좋은 금리로 대출받을 수 있음에도 아는 정보가 없어 그러지 못한 사례를 접해왔다”며 “핀다를 설립한 계기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고 했다.

이 대표는 연쇄 스타트업 창업가다. 그는 1984년생으로 고려대 서어서문학과를 졸업한 뒤 2007년 STX 전략기획실에 4년 반 가까이 몸담았다. 이후 신상 화장품 샘플 박스를 소비자가 받아볼 수 있는 ‘글로시박스’ 등을 창업했다.

 그가 핀다를 설립한 것은 지난 2015년. 이 대표는 “중저신용자 같은 취약 계층이 좀 더 나은 금리와 한도로 대출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지 않을까 하는 고민에서 창업을 결심하게 됐다”고 했다.

핀다는 지난 8년간 비약적인 성장을 기록한 몇 안 되는 국내 스타트업이다. 핀다의 지난해 대출 중개액은 약 4조원으로, 이 중 1조원 정도가 대환 대출로 이뤄졌다. 핀다 자체 데이터에 따르면 대환 대출에 성공한 고객은 평균적으로 금리를 4.59%포인트 낮출 수 있었고 한도 또한 1000만원 가까이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핀다를 통한 대출 평균 승인율 역시 71.8% 정도로 기존 금융기관을 통한 대출 평균 승인율(18%)보다 월등히 높다. 현재 핀다에서 근무하는 직원은 131명으로 2년 만에 네 배 넘게 늘었다.

현재 핀다와 제휴하고 있는 금융기관 수는 66개 정도로 1금융권부터 2금융권까지 다양하다. 취급하는 대출 상품 또한 200여 개가 넘는다. 현재 핀다는 금융 이력이 부족해 대출에 어려움을 겪는 ‘신 파일러(Thin filer)’나 플랫폼 노동자인 ‘긱 워커(Gig Worker)’를 위해 현대차, 배달의민족과 제휴를 맺는 등 다양한 대출 상품 확대에도 나서고 있다. 다음은 일문일답.

핀다의 대환 대출 애플리케이션 화면. 사진 핀다
핀다의 대환 대출 애플리케이션 화면. 사진 핀다

핀다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달라.
“간단히 소개하자면, 핀다는 대출 전문 비교 서비스를 운영하는 플랫폼이다. 지난 2015년 박홍민 대표와 같이 창업했다. 핀다는 보다 나은 대출 시장을 만들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핀다의 성과가 궁금하다.
“최근 3년간 매출을 보면 65배 이상 성장했다. 누적 대출 실행 금액만 보면 2020년엔 4300억원, 2021년엔 2조5000억원으로 다섯 배 넘게 늘었다.”

핀다가 중개한 대출 총액은 어느 정도인가.
“지난해 핀다가 중개한 대출 총액은 4조원 가까이 된다. 그중 1조원 정도가 대환 대출 실적이다. 핀다는 고객이 얼마만큼 금리를 아낄 수 있었는지 등에 대한 자료도 갖고 있다. 지금껏 핀다를 통해 대환 대출을 실행한 고객을 보면, 평균적으로 금리를 4.59%포인트 낮출 수 있었고 한도도 1000만원 이상 늘릴 수 있었다.”

대환 대출에 대한 오해가 있다면.
“대부분 소비자는 한 번만 대출을 갈아타지만 여러 번 대출을 갈아타면서 더 좋은 조건의 상품을 찾을 수 있다. 실제 핀다 고객 중 한 명은 지난해 아홉 번이나 대출을 갈아타기도 했다. 두 번 이상 대출을 갈아탄 고객의 경우, 평균적으로 2.2%포인트 금리를 낮출 수 있었고 한도는 364만원 늘렸다.”

금융 이력이 부족한 신 파일러를 위해 핀다는 어떤 서비스를 제공 중인가.
“사실 신 파일러의 경우, 데이터가 부족해서 해당 고객이 불량 고객인지, 우량 고객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평가가 제대로 되지 못해 고객이 실제 갖고 있는 잠재력, 소득 창출력에 비해 평가 절하당하는 경우가 잦다. 신파일러들이 대출을 잘 받기 위해서는 이들이 가진 잠재력을 잘 파악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핀다는 지난해 오픈업이라는 인공지능(AI) 회사를 인수했다. 앞으로 핀다는 오픈업의 AI 기술로 개인이 지닌 잠재력을 잘 파악하는 데 역량을 강화할 생각이다. 현재 핀다의 ‘폐업 예측 모델’의 경우 정확도가 98%다.”

다른 금융사들도 대환 대출 서비스가 가능하게 됐는데, 이에 대한 위기감은 없나.
“기회이자 위기라고 생각한다. 핀다는 빅테크와 경쟁하고 있는데, 그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기 때문이다. 다만 좋은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이러한 위기는 극복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핀다는 플랫폼이기에 거래량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올해 목표도 대출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만족할 만한 경험을 선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직장인 위주 대출 상품 외에도 사업자 대출, 주택 담보 대출 대환 상품 등도 준비 중이다.”

다른 사업 계획은 없나.
“소규모 특화 은행인 챌린저 뱅크에 관심이 있다. 다만 아직 직접 금융업에 나서기엔 경험이 부족하다. 당분간은 좋은 상품을 고객에게 연결해 주는 것에 집중할 계획이나,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인터넷 은행이나 챌린저 뱅크 사업도 준비해 보고 싶다.”

연령층이 젊은 스타트업 특성상 소통의 문제는 없나.
“핀다에 근무 중인 직원 연령층은 2003년생부터 1970년대생까지 다양하다. 나이 차이가 30년 이상 나다 보니 소통 문제가 없다고 하면 거짓말이다. 따라서 이러한 간극을 줄이기 위해 핀다는 최근 자신이 갖고 있는 ‘꼰대스러움’에 대한 발표 시간을 가졌다. 사실 우리가 ‘꼰대’라고 일컫는 특징 중에서는 업무에 도움 되는 것도 있다. 이러한 발표 시간을 통해 어떤 꼰대스러움은 버려야 하는지, 어떤 점은 좋은 방향으로 살릴 수 있는지 등에 대해 생각을 나눴다.”

핀다가 꿈꾸는 목표는 무엇인가.
“핀다의 캐치프레이즈인 ‘땡큐 핀다(thank you, finda!)’가 가장 잘 설명해 준다고 생각한다. 고객이 핀다를 이용하고 만족하길 바란다. 고객 효용을 중요시하는 회사로 기억되고 싶다. 

핀다가 참고하고 있는 해외 기업으로서는 미국의 ‘아마존’이 있다. 아마존처럼 다양한 상품을 취급하되,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고 싶다.”

Company Info

회사명 핀다
본사 서울 강남구
사업 대출 비교 중개 서비스
창업자 이혜민, 박홍민
설립 연도 2015년
매출 434억원(2022년)
중개 대출액 42조원(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