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화여대 통계·경제학, 전 유진자산운용 주식운용 담당, 전 대신증권 연구원, 전 유안타증권 연구원 사진 하나증권
“투자 기간을 2년 미만으로 하면, 현재 급성장하는 홈 뷰티 디바이스 시장 플레이어에 투자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2년 이상 중장기적으로 투자 전략을 세운다면, 시장 변화를 이끌 수 있는 뷰티 테크(Beauty Tech) 분야 스타트업 투자를 고려해봐야 한다.”
박은정 하나증권 연구원은 6월 27일 인터뷰에서 뷰티 테크 기업 투자 전략에 대해 이같이 조언했다. 박 연구원은 “로레알이나 아모레퍼시픽이 뷰티 테크 연구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그 부분이 주가(기업 가치)와 연동되지 않는 것은 당장 사업화가 가능한지, 현재 손익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 등이 뚜렷하지 않아서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또 하나의 뷰티 테크 분야인 홈 뷰티 디바이스 시장은 시작이 아닌 확장기로, 현재 상업화한 기업이 많아 제품 개발 및 판매가 기업 가치에 즉각 반영된다”고 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뷰티 테크 시장 트렌드는. “뷰티 테크 시장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확장되고 있다. 첫 번째는 홈 뷰티 디바이스 시장이고, 두 번째는 빅데이터, 증강현실(AR) 등의 기술을 접목한 맞춤형 화장품 시장이다. 우선 두 시장 모두 소비자의 외모에 대한 관심 증..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