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셔터스톡
사진 셔터스톡

미국 달러 강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유로화, 일본 엔화, 영국 파운드화, 캐나다 달러화, 스웨덴 코로나화, 스위스 프랑화 등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미국 달러의 평균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가 지난 8월 말을 저점으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탓에 원·달러 환율 역시 1300원 초·중반대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향후 달러 평가가 어떻게 변화될 것인지 알 수 없는 일이지만, 현재로서는 강달러 현상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이사
일본 주오대 경제학 
석·박사, 전 대구경북
연구원 동향분석실장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이사
일본 주오대 경제학 석·박사, 전 대구경북 연구원 동향분석실장

먼저, 미국 경제가 여전히 매우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점이다. 지난 9월 미국 비농업 부문 고용자 수는 33만6000명 증가해 시장 예상치를 두 배 이상 웃돌았고, 실업률은 3.8%에 머물러 고용 시장은 여전히 뜨겁고 경기 역시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9월 기준 올해 2.1%, 내년 1.5%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난 6월 전망치보다 각각 1.1%포인트, 0.4%포인트 상승한 수준으로 미국 경제가 그만큼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는 기대를 엿볼 수 있다. 최근 보도된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의 경기 전망 설문 조사 결과 역시 향후 1년 내 미국의 경기 침체 발생 확률 가능성이 48% 정도라고 하니 이는 연준 전망에도 부합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즉, 앞으로 미국 경제의 견조한 성장세 유지, 높은 물가 상승 압력 지속, 낮은 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 가능성 등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는 점이다. 장기 금리의 기준이 되는 10년물 국채 금리가 5% 수준에 가까워지면서 실질적인 통화 긴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해 미국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이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을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국채 금리 급등은 재정에도 부담을 줄 수 있어서 재닛 옐런 미 재무 장관 역시 장기 금리 급등 시 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가 현실화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다만,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3%대 후반대인 점을 고려하면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 전환 시기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한편, 미국을 둘러싼 대내외 정치·외교적 불확실성 역시 안전자산 선호 현상을 부채질해 강달러 현상 장기화 가능성을 키우고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내적으로는 예산안 이슈가 가장 크다. 9월 30일(현지시각) 임시 예산안 통과로 한숨 돌리기는 했으나, 사상 초유의 하원의장 탄핵안이 통과되면서 오는 11월부터 본격화될 내년도 본예산 처리 여부가 불투명해진 것이다. 여기에다 파격적인 노동자 처우 개선을 요구하고 나선 전미자동차노조 파업이 노사 갈등을 키우면서 정치 쟁점화될 가능성마저 큰 상황이다. 대외적으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이 발발해 군사·외교적 환경 역시 크게 악화하고 있는 형편이다.

당연히 문제는 미국의 통화 긴축 시작과 더불어 제기되었던 세계경제의 회복세 약화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매우 커졌다는 점이고, 이로 인한 악영향은 우리 경제가 감내해야 할 부담이라는 점이다. 다시 말하자면 강달러 현상 해소 전까지 각국은 통화가치 하락,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 상승, 통화 및 재정 긴축, 경기 둔화순으로 이어지는 악순환 고리에서 벗어나기 어려워 보이고,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가 입을 피해 역시 커질 수밖에 없다는 말이다.

안타깝지만 당분간 개인이나 기업은 물론 정책 당국에서도 금융 및 실물시장 변화에 대해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그때그때 대응하는 것 이외에는 방법이 없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