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셔터스톡
사진 셔터스톡

SK그룹은 1월 7일 2024년 정기 임원 인사를 단행, 1970년대생 최고경영자(CEO) 4명을 신규 선임했다. 이로써 SK그룹 계열사 대표 중 1970년대생은 6명에서 10명으로 늘었다. 삼성전자도 2023년 11월 27일 2024년 정기 사장단 인사를 단행, 1970년생인 용석우 디바이스경험(DX) 부문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부사장을 사장으로 선임했다. 삼성전자에서 1970년대생 사장이 등장한 것은 최초다. 

최근 경제계에 불고 있는 1970년대생 세대교체 바람을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기업분석 기관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2023년 국내 100대 기업(매출 기준) 임원 가운데 1970년대생 비중(52.8%)이 1960년대생(44.1%)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기업 의사 최고 결정권자인 CEO직에 포진한 1970년대생 비중도 23.2%에 달한다(2023년 매출 상위 1000대 기업 기준). 해외에서도 1970년대생 경제계 리더들이 선전하고 있다. ‘포브스’에 따르면, 세계 10대 부자 10명 중 3명이 1970년대생 기업인이었다.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1위, 구글 창업자인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각각 5위와 7위를 차지했다. 경제계 주역으로 부상 중인 1970년대생은 변화에 적응이 빠르고, 소통과 공감 능력이 뛰어나다는 특징이 있다. 이들이 10~20대였던 청년기에 사회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기 때문이다. 1970년대생이 겪은 큰 사회적 변화를 네 가지로 분류하자면 ①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 ②냉전에서 탈냉전 시대로의 전환 ③군사정권에서 민주화 시대로의 전환 ④IMF(국제통화기금) 경제 위기로 요약할 수 있다. 팬데믹(pandemic·감염병 대유행) 이후 국내외적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변화에 발 빠르고 융통성 있는 대응이 가능한 리더십 요구가 커졌다. 이런 상황에서 1970년대생 리더들의 약진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 ‘이코노미조선’이 ‘70년대생이 온다’를 기획, 이들의 리더십이 어떤 강점이 있는지 실제 1970년대생 경제계 리더들을 인터뷰하며 짚어본 배경이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사이 낀 세대

1970년대생은 아날로그 세대인 1960년대생과 디지털 세대인 1980년 이후 출생한 세대 사이에 낀 세대다. 이들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경험을 동시에 했기 때문에 여기서 나오는 시너지가 강한 세대에 속한다. 1970년대생은 소위 ‘X 세대(1965~80년생)’에도 포함된다. 한때 X 세대는 기성 아날로그 세대 문화에 반항하는 상징적 존재였다. 이재원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원장은 “MZ 세대(밀레니얼+Z 세대·1981~2010년생)의 자유로운 생각에 X 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많고, 거꾸로 MZ 세대도 X 세대가 만들어낸 콘텐츠에 거부감이 적다고 느낀다”며 “1970년대생이 다른 세대의 공감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강점을 지녔다”고 설명했다.

정치체제 변화와 경제 위기를 경험한 세대

1970년대생들이 보낸 초·중·고 학창 시절 글로벌 정치 상황은 미국과 소련 양 진영이 대립하는 냉전 체제였다. 국내적으로는 군사정권 상황에서 교육을 받았다. 이분법적으로 미국 아니면 소련이라는 답이 정해진 냉전 체제 속에서 사람들의 사상적 자유는 제한됐고, 상명하복의 일방 소통적인 군사정권 문화가 사회를 지배하는 시기였다. 1970년대생은 이러한 시기 유년 시절을 보냈지만 20대가 된 이후 탈냉전과 세계화를 경험했고, 동시에 민주화의 봄을 맞이했다. 그러나 자유의 기쁨도 잠시였다. 1970년대생들은 1997년 IMF 경제 위기로 대학 졸업 후 취업난에 허덕여야 했다. 1975년생인 전승호 대웅제약 대표는 “1970년대생들은 급격한 정치·경제 변화들을 겪으며 내공을 쌓은 세대”라고 강조했다.

Plus Point

정치계에도 부는 70년대생 바람

2023년 12월 29일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에 한동훈 전 법무부 장관이 임명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최근 1970년생인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를 경제정책 컨트롤타워인 대통령실 정책실장에 임명했다. 내각에서도 1970년생인 강도형 한국해양과학기술원장을 해양수산부 장관에 발탁했다. 정치권에서도 1970년대생을 향한 러브콜이 시작된 분위기를 보여주는 사례다. 국회사무처에 따르면 1970년대생인 현직 국회의원 수도 43명에 달한다. 이들이 모이면 국회 내 원내교섭단체도 구성이 가능한 규모다.

심민관 기자
이코노미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