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돈, 건강, 자식은 우리 국민의 제일 큰 관심사다. 더 많은 돈, 더 건강한 가족, 더 잘된 자식을 위해 올인하지만, 뜻대로 되지 않는다. 그렇게 간절히 원하는 돈과 건강과 자식은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첫째, 단기간에 달성되지 않는다. 오랜 시간 절제하고 인내해야 한다. 자산가의 경우도 최소 30년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둘째, 끝이 없다. 특히 우리는 지독히 남과 비교하고, 내가 남에게 어떻게 비칠 것인지 노심초사하며, 늘 새로운 경쟁자를 앞세운다. 겉으로는 부러울 것이 없는 큰 부와 높은 명예를 가진 이를 많이 봤지만, 이 세 가지를 모두 만족하게 갖고 있는 사람은 찾기 힘들었다. 큰 부자는 자식이 걱정인 경우가 많았고, 훌륭한 자녀와 건강한 몸을 가진 높은 지위에 있던 사람은 긴 여생을 뒷받침할 재산이 모자라 근심이 컸다. 본인과 가족의 육체적·정신적 질병은 늘 어찌할 수 없는 말 못 하는 그늘로 남아있다. 살아오면서 시간과 노력을 집중해 그중 하나를 원하는 만큼 얻더라도 그간 소홀히 한 나머지들이 저절로 커 주지는 않는다. 돈에 집중하면건강과 자식을 소홀히 하기 쉽다. 경고의 신호가 울린 후 되돌아 챙기려 해도 이미 시간이 늦었다. 돈이 있다고 자식을 한순간에 회복시키기는 힘들고, 돈이 많을수록 자식들 간 싸움은 커진다. 그나마 본인의 의지가 통하는 것은 자신의 건강 정도다.

케임브리지대 이학 박사, 현 한양대 총동문회장, 현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
다리 길이가 각각 다른 세 개의 다리를 가진 의자에 앉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다리 하나를 더 만드는 것이다. 네 번째 다리는 남을 위한 이타적인 다리여야 한다. 이 다리는 이기심의 세 다리와는 달리 유연하게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가장 긴 이기심의 다리 길이만큼 이타심의 다리 길이를 조절하면 최소한 앉을 수는 있다. 이타심은 인생을 의자에 앉게 할 뿐 아니라 그 의자에 앉은 사람을 존경받게 한다.
기업가는 죽기 전 어떻게든 기업을 자식에게 물려주려는 욕심이 크다. 이런 이기심 때문에 기업가 정신도 기업 가치도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 자식에게 물려준 돈은 대부분 그 돈을 받은 자식도 그르친다. 이타적인 돈만이 사회의 거름이 되고 존경을 낳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