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긋하게 한양도성길  인왕산 구간을 탐방 중인 등산객. /최갑수
느긋하게 한양도성길 인왕산 구간을 탐방 중인 등산객. /최갑수
최갑수 시인여행작가, ‘우리는 사랑
아니면 여행이겠지’ ‘밤의 공항에서’ 저자
최갑수 시인
여행작가, ‘우리는 사랑 아니면 여행이겠지’ ‘밤의 공항에서’ 저자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성곽 한양도성. 조선시대부터 서울을 감싸안고 있는 이 성곽을 따라 초가을을 걸었다. 땀을 흘린 만큼 보람 있었고 즐거웠다.

서울은 성곽도시다. 조선시대, 이 도시의 이름이 ‘한양(漢陽)’으로 불릴 때부터 그랬다. 1392년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고 1394년 10월 수도를 개성에서 한양으로 옮긴다. 곧이어 궁궐을 짓고 종묘와 사직을 정비한다. 국가의 기초를 닦기 위해 태조가 또 한 일은 거대한 성을 만들어 도시를 둘러싸는 것이었다. 1396년 그가 왕에 오른 지 5년이 됐을 때 태조는 정도전에게 축성을 명한다. 한양은 밖으로는 아차산(동), 덕양산(서), 관악산(남), 북한산(북)의 외사산(外四山)으로 둘러싸여 있고, 안으로는 낙산(동)과 인왕산(서), 남산(남), 북악산(북)의 내사산(內四山)으로 둘러싸인 천연의 요새다. 한양도성은 바로 내사산을 연결하는 방식이었다.

성곽 공사는 1396년 숭례문에서 시작해 다음 해 4월, 흥인문의 옹성을 완공하며 끝났다. 완성된 성의 평균 높이는 5~8m, 전체 길이는 18.6㎞에 달했다. 이를 ‘한양도성’이라고 불렀는데 1396년에서 1910년까지, 모두 514년간 도성 기능을 수행했다. 현존하는 전 세계의 도성 중 가장 오랫동안 그 역할을 했다.

이번에는 이 성곽을 따라 걸어본다. 요즘 딱 걷기 좋을 때다. 성곽을 따라 ‘한양도성길’ 이 만들어져 있는데 백악, 낙산, 흥인지문, 남산, 숭례문, 인왕산 등 모두 6개 구간으로 나뉘어 있다. 길은 잘 정비되어 걷기가 크게 부담스럽지 않다. 성곽길이 자리 잡은 능선은 아무리 높아도 400m를 넘는 곳이 없다. 북악산과 인왕산이 300m, 남산이 200m이고 낙산은 100m에 불과하다. 반나절, 아니 2시간만 할애하면 서울의 역사를 더듬을 수 있다.

재미있게 걷고 싶다면 인왕산 구간을 추천한다. 돈의문 터에서 시작해 인왕산 정상을 지나고 창의문에 닿는 코스다. 2시간 30분 정도 걸린다. 제법 땀을 쏟아야 하지만 눈에 보이는 풍경만으로도 수고를 제하고 남는다. 등산화를 신으면 좋지만, 운동화로도 충분하다. 물과 간단한 간식 정도만 챙기자.

인왕산 구간은 한양도성의 위용을 제대로 실감할 수 있는 코스다. 인왕산 능선을 따라 시원하게 뻗어나가는 성곽의 위용이 박력 있다. 탁 트인 조망도 걷기의 재미를 더해준다. 돈의문 터에서 인왕산 정상까지는 완만한 오르막길, 인왕산 정상에 거의 다 닿을 즈음에 급경사 코스가 있지만 오르는 데 어렵진 않다. 지칠 때쯤이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깊고 시원한 숲길이 계속 걸으라고 유혹한다.

돈의문 터는 도성의 서대문인 돈의문이 있던 자리다. 태조 때 처음 세워졌다는데 그 위치를 지금은 정확히 알 수 없다. 이곳에 돈의문박물관마을이 만들어졌다. ‘봉선화’ ‘고향의 봄’ 등으로 유명한 작곡가 난파 홍영후가 살던 홍난파가옥도 가깝다. 1930년에 독일 선교사가 지은 붉은색 벽돌 건물로, 담쟁이덩굴이 멋지게 한쪽 벽을 뒤덮고 있다. 홍난파는 생애의 말년을 이곳에서 보냈다. 집 앞에는 홍난파의 흉상도 세워져 있다. UPI 서울 특파원으로 살면서 3·1 운동을 세계에 알렸던 앨버트 테일러가 살던 딜쿠샤도 근처에 있으니 가볼 만하다.

(왼쪽부터) 한양도성길 인왕산 구간을 찾은 사람들. 한양도성길의 성곽. 홍난파가옥. /최갑수
(왼쪽부터) 한양도성길 인왕산 구간을 찾은 사람들. 한양도성길의 성곽. 홍난파가옥. /최갑수

이미지 크게 보기

성곽길에 오른다. 초입은 아늑한 숲길이다. 숲은 초록이고 그늘이 깊다. 바람 소리가 귓속으로 스민다. 새소리도 멀리서 들린다. 길은 그다지 급하지 않다. 동네 뒷산 걷듯 천천히 걷는다. 어디쯤 왔나 문득 뒤돌아보니 서울 도심이 아득하게 펼쳐진다.

숲길을 빠져나오니 성곽이 인왕산 정상을 향해 힘껏 뻗어나간다. 성곽 끝에 멀리 거대한 화강암 덩어리가 버티고 서 있다. 인왕산은 해발 339m인 낮은 산이지만 치마바위, 선바위, 기차바위 등 기암괴석이 많아 그 품새가 예사롭지 않다. 풍수지리상 서울을 지키는 우백호(右白虎)에 해당한다.

정상에 오르기 전 왼쪽으로 빠져나가는 일반 등산로가 있다. 이 길을 따라가면 선바위에 닿는다. 기도 터로 유명하다. 멀리서 보면 두 스님이 참선하는 모습과 똑 닮았다. 선바위는 조선 개국의 두 주역인 무학대사와 정도전이 기싸움을 벌인 곳이다. 무학대사는 선바위를 도성 안에 둬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지만, 정도전은 이를 강력히 반대했다. 각각 불교와 유교를 대표하는 이들이 조선의 통치 이념을 유교와 불교 중 무엇으로 선택할지 기싸움을 벌인 것이다. 결과는 유학자 정도전의 승. 그는 태조 이성계를 설득해 선바위를 성 밖으로 밀어낸다. 이를 두고 무학대사는 “이제 승려는 선비의 책 보따리나 지고 따라다닐 것”이라며 한탄했다고 한다.

다시 성곽길에 오른다. 물 한 모금 마시고 다리에 힘을 준다. 정상까지는 곧장 오르막길이다. 몇 걸음은 로프를 잡아야 한다. 인왕산 정상에 오르면 서울 시내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광화문과 경복궁, 청와대가 아득하다. 멀리 N서울타워도 보인다. 인왕산에서 보면 정도전이 경복궁을 그 자리에 놓은 이유를 알 수 있다. 풍수지리에 문외한이 보아도 궁을 짓기에 이보다 더 좋은 자리는 없는 것 같다.

여기서 잠시 다리를 쉰다. 돈의문 터에서 천천히 걸어 한 시간 정도 걸렸다. 인왕산 정상에서 창의문까지는 내내 내리막길이다. 힘들 것 없다. 숲도 좋아 동네 뒷산 산책하는 기분으로 걸으면 된다. 걷다 보면 어느새 ‘시인의 언덕’이다. 청운동 인왕산 일대는 윤동주 시인이 연희전문학교 재학 시절 하숙하며 산책을 즐기던 곳이다. 이곳에 윤동주문학관이 만들어져 있다. 원래는 인왕산 자락에 버려져 있던 청운수도가압장과 물탱크였는데 2012년 윤동주문학관으로 꾸몄다. 2012년 대한민국 공공 건축상 국무총리상, 2014년 서울시 건축상 대상을 받았고, ‘한국의 현대건축 베스트 20’에 선정되기도 했다. 건물이 윤동주의 시를 닮은 것 같기도 하다. 단아하다. 내부에는 윤동주 시인의 유품과 자필 서신, 생애 사진 등이 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백악 구간으로 곧장 들어서서 한양도성길 걷기를 이어가도 되고 부암동으로 내려와 걷기를 마무리해도 된다. 부암동에는 여기저기 고개를 기웃거리고 엉덩이를 붙일 만한 카페며 식당이 많다. 

최갑수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