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pandemic·감염병 대유행) 이전의 금융 및 부동산 환경은 경제성장과 부동산 수요가 계속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분위기였다.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이런 분위기는 위축됐고 투자자는 자산의 거시적 및 미시적 수요 동향과 함께 코로나19 팬데믹 같은 예측 불가능한 요소까지 고려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이 됐다.”
미국 부동산 투자 기업 ‘GL캐피털파트너스(이하 GLCP)’의 토머스 홀 창업자 겸 대표는 최근 인터뷰에서 “코로나19 팬데믹은 저금리, 원활한 유동성 등을 제한하면서 금융 및 부동산 시장에 큰 변화를 불러왔다”라며 “지난 5년간 부동산 시장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교훈은 ‘완전히 안전한’ 투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했다. GLCP는 아파트를 비롯한 다세대주택에 투자하고 있으며, 운용 자산은 2조원이 넘는다. 다음은 일문일답.
코로나19 팬데믹 직전 부동산 시장은 어땠나.
“2019년 미국의 부동산 시장은 이미 강세장이었다. 부동산 가치가 급등했고 대부분 자산군에서 펀더멘털(기초 여건)이 양호했다. 다세대주택(임대 아파트 포함), 오피스 빌딩, 고급 호텔은 견조한 성장..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