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pandemic·감염병 대유행) 동안 대중이 비대면 진료를 경험하면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공중 보건,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었다. 한국도 현재 시범 사업을 통해 비대면 진료를 추진 중이다.”
이병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바이오헬스혁신기획단 단장은 최근 인터뷰에서 지난 5년간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헬스케어 분야에서 일어난 가장 큰 변화로 ‘디지털 전환’을 꼽았다. 이 단장은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블록체인, 로봇공학 등 기술이 바이오 헬스 산업에서 활용되면서 건강과 의료, 환자와 정상인의 경계와 구분이 사라졌다”며 “언제 어디서나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의 유지에 필요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 패러다임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이른바 ‘헬스케어 4.0 시대’가 열린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전후로 공중 보건, 의료, 헬스케어 서비스에 어떤 변화가 있었나.
“의료 서비스 범위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에서 대중을 위한 건강관리로 확대됐다. 질병 치료 중심에서 예방·관리로 확장되면서 개인 건강 데이터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가 중요해졌다. 이에 따라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