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시장의 혹한기가 길어지며 국내 스타트업 업계가 성장의 돌파구를 못 찾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감염병 대유행) 기간 풀린 막대한 유동성이 2022년부터 끊긴 것이 혹한기의 시작이었다. 한창 투자금이 넘쳐나던 2020년과 2021년에 투자를 많이 받은 스타트업의 몸값이 천정부지로 치솟으며 연달아 주식시장 상장에도 성공해 왔는데, 불과 5년도 안 된 기간에 벤처 투자는 온탕과 냉탕을 오가고 있다.

사실상 현재 이뤄지는 벤처 투자를 살펴보면 매출이 나오거나 딥테크(심층 기술) 등 소수의 스타트업만이 투자금 유치에 성공하고 있는 형국이다. 스타트업 업계에서는 창업 생태계 발전을 위해서는 투자 활성화가 최우선으로 해결돼야 한다며 입을 모으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정부 지원금을 운용하는 벤처캐피털이 투자의 마중물 역할을 해내야 하나, 안타까운 것은 벤처캐피털 역시도 이러한 상황에서 제 역할을 하기 어려운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우선 투자할 돈이 없는 벤처캐피털도 많다. 보험사, 연기금, 정부 기관, 공제회, 은행, 캐피털 같은 출자사(LP)의 투자가 위축됐기 때문이다. 고금리로 인해 회수 환경이 악화했고, 수익 분배도 턱없이 줄어 LP..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