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주택의 13.8%는 ‘빈집’이다. 일본 총무성에 따르면, 빈집 수는 2023년 10월 기준 약 900만 채로 2018년(848만9000채)보다 51만 채 이상 늘었다. 하지만 시장에서 집계되지 않은 빈집은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노무라연구소는 일본 내 빈집은 약 1100만 채로, 2033년 안에 주택의 3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빈집 증가는 인구 고령화와 출산율 감소 때문이다. 일본 인구는 2010년 1억2805만7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12년째 감소하고 있다. 총인구에서 75세 이상 고령자가 71만3000명 증가해 처음으로 2000만 명을 넘어섰고 65세 이상 고령자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역대 최고인 29.1%다. 반면 2023년에 태어난 신생아 수는 79만9000명으로 8년 연속 감소해 역대 최소 수준에 머물렀다.
빈집이 급증하면, 주변 부동산 가격은 폭락한다. 일본 아키야 컨소시엄의 조사에 따르면, 빈집 근처 주택 가격 하락으로 인해 2023년까지 지난 5년 동안 일본의 부동산 시장은 약 3조9000억엔(35조8983억3000만원)의 손실을 봤다. 빈집에 잡초가 무성해지고, 공공 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면서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