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에 대한 주주 영향력이 큰 미국에서는 오랫동안 행동주의 펀드가 기업 경영과 성과 창출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 행동주의 펀드가 기업 경영의 비효율성을 없애고, 자본 배분과 자산 효율성을 최적화한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성과가 낮을 우려가 있는 경영진은 행동주의 펀드가 움직이기 전에 선제적으로 경영 효율성을 높이고, 더 나은 경영 결정을 내리는 노력을 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 제시 M. 프라이드(Jesse M. Fried) 미국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는 “변화를 원하지 않거나, 가치 창출 결정을 내릴 능력이 부족한 경영진에게 행동주의 펀드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압박을 가한다”라며 “경영진은 이런 일이 발생하기 전에 주주 가치를 증대할 여러 경영 개선을 시도하게 된다”라고 했다. 프라이드 교수는 미국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로, 행동주의 펀드와 관련한 법적 및 경제적 영향을 연구하는 학자다.
행동주의 펀드의 활동은 기업 경영 투명성을 높이고, 장기적으로 기업의 재무 성과를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게 미국 시장의 보편적인 인식이다. 그러나 일부는 행동주의 펀드가 단기적인 주가 상승에 집중하면서 장기 전략이나 혁신을 저해할 수..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