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민규 기자
/ 황민규 기자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이 전 세계 산업의 패러다임을 강타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중국을 비롯한 선도 국가들이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국책 사업으로 AI, 반도체 등에 전폭적인 투자를 단행해 온 중국이 최근 딥시크 열풍을 일으키며 한국과 월등한 수준 격차를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과거 IT 강국을 자부해온 한국의 AI 연구개발(R&D)은 주로 기업을 비롯한 민간 부문을 주축으로 성장해 왔으며, 현시점에서도 정부 주도의 대규모 프로젝트나 예산 지원은 기대하기가 힘들다. 이는 국내 최고 대학 중 하나인 서울대의 AI R&D 실태를 보면 그 열악함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국내 AI 학계 핵심 인사로 꼽히는 윤성로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최근 인터뷰에서 “국내 최고 대학 중 하나인 서울대조차도 AI 연구를 위한 서버실을 학생들이 ‘아오지 탄광’이라고 부를 정도로 발열 제어가 안 되고 있다”면서 “열을 식힐 냉방 장비를 구매할 예산이 없고 전기 사용도 제한돼 있어 제대로 된 AI 연구개발을 하기 힘들다”고 토로했다.

그는 “AI 연산의 필수 하드웨어인 그래픽처리장치(GPU) 구매 비용도 충당하기 힘들어 지금 연구원은 GPU 없이..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