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산불, 아열대 기습 한파를 비롯해 지구 곳곳에서 폭염과 가뭄, 폭우와 홍수 등이 이어지며 지구촌이 기후 위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토 중 아열대기후대 비율이 2021년 6.3%에서 2050년에는 55.9%가 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위기감이 점점 커지고 있다. 기후 위기는 농작물의 재배 환경을 변화시켜 식량 가격을 올리고 나아가 에너지, 원자재 가격을 상승시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기후플레이션(Climateflation·기후와 인플레이션의 합성어)’이라 한다.
애덤 맥케이(Adam McKay) 감독의 영화 ‘돈 룩 업(Don’t Look Up·2021)’은 지구로 돌진하는 혜성을 발견한 과학자가 충돌 위험을 경고하지만, 정치권과 언론, 기업 그리고 대중이 무관심하거나 현실을 왜곡한 결과, 인류가 파멸하는 과정을 그린 블랙코미디다. 이 영화는 진실을 외면한 채 보고 싶은 것만을 믿으며 위기를 방치할 때 초래되는 사회· 경제적 비용을 풍자한다. 이 영화를 통해 세계경제를 위협하는 기후플레이션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생각해 보자.

경고를 외면하는 사회
영화는 미..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