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가 최근 김상현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를 경제분석과장에 임용했다. 현직 대학교수가 과장급 직위에 직접 합류한 것은 공정위 역사상 처음이다.
경제분석과는 기업결합 심사, 담합, 시장 지배력 남용 등 공정위 사건에서 경제학적 판단을 담당하는 핵심 부서다.
과거에는 법률 해석과 문서 증거 중심으로 사건을 처리했지만, 최근에는 정량적 분석과 실증경제학이 주요 판단 기준으로 부상했다. 기업 측도 자체 경제모형을 앞세워 논리를 제시하고 있어, 공정위 역시 이에 대응할 분석 역량 확보가 필수적이다.

학계에서 실무로… ‘플랫폼 분석’ 특화 인재
김 과장은 테뉴어(tenure)를 획득한 직후 공정위에 들어왔다. 테뉴어는 대학에서 종신 재직권을 보장하는 제도로, 교수의 연구 독립성과 직업적 안정성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제도다.
안정된 대학 연구 환경을 내려놓고 실무 공직에 뛰어든 김 과장 결정은 공정위의 경제 분석 기능 강화 흐름과 맞물린다.
김 과장은 2013년 미국 미시간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와 연세대에서 산업조직론과 행동경제학을 연구해 왔다.
산업조..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