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하 트럼프)의 돌변하는 관세정책에 전 세계 금융과 원자재 시장이 널뛰기하고,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도 출렁거리고 있다.
도화선은 트럼프가 4월 2일(이하 현지시각) 던진 관세 폭탄이다. 전 세계 국가에 10%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한국 등 56개국과 유럽연합(EU·27개 회원국)에는 기본 관세에 추가 관세를 얹은 고율의 국가별 상호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것. 기본 관세는 4월 5일 부과되기 시작했고, 국가별 상호 관세는 4월 9일 발효됐지만, 발효 13시간 만에 중국을 제외한 75개국 이상에 대해선 90일 유예한다고 방향을 틀었다. 4월 7일만 해도 90일 유예설 보도에 대해 “유예는 검토하지 않는다”고 공개적으로 부인한 트럼프가 종전 입장에서 선회한 것이다. 관세 폭탄발표 직후 2001년 9·11 테러 당일보다 더 강한 쇼크를 받은 증시는 트럼프의 관세정책 돌변에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최대 폭 상승하는 롤러코스터를 연출했다. 시장은 ‘90일 유예’에 안도하기보다는 예측 불가의 트럼프 관세정책이 야기하는 불확실성을 우려한다. 특히 치킨 게임으로 치닫고 있는 미· 중 관세전쟁은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의..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