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큰 입시학원을 운영하는 K 원장은 언제부터인가 가슴이 자주 답답해졌다. 병원에서 검사한 결과, 부정맥 진단을 받았다. 그는 의사 권유로 한동안 약을 먹었다. 하지만 귀찮기도 하고 더 이상 가슴이 답답한 증상도 없어 스스로 약을 끊은 지 4년이 넘었다. 그러던 어느날 K 원장은 아침에 출근하다가 갑자기 쓰러졌다. 뇌졸중이었다. 그는 결국 말도 제대로 못 하고 몸 왼쪽을 모두 못 쓰게 되었다. 뇌졸중의 원인은 바로 부정맥이었다.
부정맥은 심장박동이나 리듬이 고르지 않은 것을 말한다. 동성 부정맥처럼 치료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지만, 심방세동같이 치료하지 않으면 뇌졸중이나 사망 위험이 있는 것도 있다. 심방세동은 심장박동이 심방 한 곳에서 일정하게 일어나지 않고, 심방 내 여기저기 다른 근육에서 생겨서 맥박이 불규칙해지는 병이다.
최근 한국에서는 심방세동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2013년 성인 인구의 약 1.1%에 불과했지만, 2022년에는 2.2%로 두 배 증가했다. 심방세동은 60대의 5.7%, 80대의 12.9%처럼 나이가 많을수록 급증한다. 고령화사회에 접어들며 심방세동 환자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심방세동에는 두 가지가 있다. 심방세동..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