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1분기 삼성전자는 SK하이닉스에 D램(DRAM) 왕좌 자리를 빼앗겼다. 33년간 한 번도 전 세계 1위 자리를 놓치지 않았던 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과 고성능 컴퓨팅(HPC) 시장에서 밀리며 SK하이닉스에 역전당하고 말았다.
시장조사 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D램 매출 기준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1위 SK하이닉스(36%), 2위 삼성전자(34%), 3위 미국 마이크론(25%)순이었다.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억하는 역할의 반도체인 ‘메모리 반도체’ 중 D램은 반도체 기업의 캐시카우(현금 창출원) 역할을 해 중요한 품목 중 하나다. 주기억장치인 D램의 경우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안 들어가는 곳이 없는 데다 최근에는 그래픽 카드, 게임 콘솔 등 고성능 메모리로도 활용된다.
그간 삼성전자는 D램 생산에 있어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했지만, 최근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을 SK하이닉스가 선점하며 정세는 급격하게 변화했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쌓아 올려 데이터가 이동하는 통로를 넓히고 이동 속도를 극적으로 향상한 고성능 특수 D램이다. 일반적인 D램이 평면구조로 이뤄진 것과 달리 HBM은 3D(3..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