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이 2025년 2월 27일 미국 워싱턴 D.C. 국회의사당 상원 임명 청문회에 참석해 증언하고 있다. / 사진 로이터연합
스티븐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이 2025년 2월 27일 미국 워싱턴 D.C. 국회의사당 상원 임명 청문회에 참석해 증언하고 있다. / 사진 로이터연합

최근 월가와 국제금융계에서 ‘마러라고 합의(Mar-a-Lago Accord)’가 심심치 않게 거론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집권과 맞물려 그의 경제 참모가 제시한 대외 경제 전략이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그 중심에는 미국의 쌍둥이 적자(재정·경상수지 적자)를 해결하기 위한 달러 약세 유도 방안이 포함돼 있다.

달러 약세 유도하는 미국…왜?·어떻게?

스티븐 미란(Stephen Miran) 백악관 대통령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은 4월 7일(이하 현지시각) 워싱턴 D.C.에 있는 미국 싱크탱크 허드슨연구소가 주최한 행사에 참석해 달러를 기축통화로 유지하는 과정에 미국 정부가 막대한 재정·무역 적자를 떠안고 있다면서 이에 대한 국제적 차원의 비용 분담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발언은 그가 2024년 11월 발표한 보고서 ‘세계 무역 시스템 재편을 위한 사용자 안내서(A user’s guide to restructuring the global trading system)’에서 처음 제시된 내용이다. 이 보고서에서 미란은 기축통화국인 미국이 국제금융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감내한 경상수지 적자가 과도한 달러 강세를 일으켰고, 이로 인한 제..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